제주도정이 낚시 하는 방법을 가르쳐야지 직접 고기를 잡아서 주면 안될 때...

제주도는 감귤만 존재하는 사업이 아니다.
관광, 축산, 수산 등 많은 산업이 존재하지만, 10월달이 되면 제주도정은 감귤관련 부서를 포함하여 모든 부서들이 긴장을 하기 시작한다. 그들이 해결하고 추진해야 할 문제들이 산재되어 있는 상황인데도 감귤에 올인 한다.

올해도 마찬가지로 감귤대란이 발생하자 공무원 총동원령까지 발령하여 감귤난을 해결해나가려 했지만 그런 고생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올라가지 않고 더 내려가는, 그런 상황이 발생하였다.
농가들과 유통을 담당하는 상인들이 스스로 자구책을 내고 살을 깍는 노력이 절실한데 지금까지 해왔던 식으로 도정에서 알아서 처리해 주겠지라는 의존심과 감귤가격이 내려갈때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정책이 부실했느냐, 관리가 미숙했다는 식으로 매도를 하는 등 요구에, 제주특별자치도의 감귤정책을 담당하는 주무과장과 실무자들은 타부서로 옮기던지, 사표를 내고 싶다 라는 이야기가 들릴
그토록 많은 준비와 정책이 매번 물거품이 되는 상황이 연속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도 보이지 않는,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매번 이런 현실을 받아들여서 나아가기 보다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위상과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정책을 수행해 나가야 한다.
표를 의식한 정책보다는 시장논리에 맞는 그런 정책으로,

가장 먼저 제주도에서는 감귤주무부서가 아닌 타 부서는 감귤에 투입시키지 말고 자신의 부서에 맞는 업무에 충실을 기해야 한다.
감귤로 인하여 공무원들이 출타하고 나면 민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청을 찾는 제주도민에게 불편함을 주어서는 안된다.
제주도민들이 제주도 공무원에게 감귤세일즈하라고 세금을 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두 번째로,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의 감귤가공공장을 민간업체나 생산자단체에게 운영권을 넘겨주어야 한다.
매번 적자가 나는 가공공장을 지속시켜야할 명분이 이제는 없어졌다.
감귤농민들이 감귤가격을 유지하기 위한 피나는 노력이 없이 그 시즌만 넘기면 된다는 무능주의가 결국 이런 사태가 발생하였다. 그 많은 감귤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돈을 주면서 까지 땅에 묻어야 하고, 가공공장으로 투입되는 악순환이 지속되어 가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인건비, 운영비 등 많은 자금이 소요되기도 한다.


세계화의 물결로 인한 개방시대에 맞추어 언제까지 감귤을 보호해 줄 수는 없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민들이 세금이라는 주식으로 운영되는 단체다.
도정에서 사업을 벌여 발생한 수익금을 도민들에게 환원을 시켜주어야 한다.
표를 의식하지 말고 철저한 시장논리에 맞춘 그런 정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