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오는 9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IOC총회에서는 자크 로게 IOC(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이 물러나고 새로운 위원장이 선출된다.

IOC가 주최한 2012런던올림픽에는 마침내 26개 종목 모두 남녀 선수가 참가했고, 여자선수는 1만 여명으로 선수의 44%를 차지했다. IOC의 TV방영권 수입은 2009~2012년에만 39억1400만 달러, 주요 스폰서(Top Program) 11개사에서 오는 수입이 9억5700만 달러, 2013~2016년 간의 TV방영권이 37억 달러에 이르게 됐다. 상업화에 성공한 것이다.

이 같은 IOC의 상업화 성공이 가져온 어두운 면도 없지 않다.

국제사이클연맹(UCI)이 선수들의 약물 복용 사실을 오랫동안 은폐해오고 있다는 것을 IOC가 알고도 모르는 척 해왔다는 소문이 어떻게 결말이 날지 관심거리다. '사이클 영웅'으로 불렸던 랜스 암스트롱은 미국 토크쇼 1인자 오프라 윈프리의 TV프로그램에서 7년 동안 투르 드 프랑스(Tour de France)에서 약물 복용을 시인했고 2000시드니올림픽 동메달도 박탈당했다.

캐나다의 딕 파운드 IOC위원은 사이클의 올림픽 퇴출을 주장하고 있고, 로게 위원장의 오랜 친구인 UCI의 헤인 베르브루겐 명예회장(IOC 명예위원)과 패트 맥콰이드 현 회장의 IOC위원 박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국가의 방대한 투자에 의지하지 않고는 올림픽이나 종합경기(Game) 유치가 불가능하고 메달 상위 10개국에서 보듯이 어마어마한 투자 없이는 메달 획득도 어렵다. 중국이 연간 훈련비로만 4억5000만 달러를 쓰는 것이 좋은 예다.

그외에도 국제 스포츠계는 스포츠베팅, 약물복용, 승부조작, 국적이동 문제 등 지각 변동이 많다.

박정희 대통령 때 '체육입국(體育立國)', '체력은 국력(體力은 國力)'에서 시작된 한국 체육은 88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정부의 막대한 투자와 시설 확충에 힘입어 동·하계 올림픽에서 세계10대 스포츠 강국의 반열에 올랐다. 이에는 스포츠인, 선수의 헌신, 그리고 대기업의 공헌 등이 있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또 한국은 동·하계올림픽, 월드컵, 동·하계아시안게임, 동·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을 유치함으로써 세계 스포츠의 흐름을 선도하고 있다.

서울올림픽에서 금메달 숫자로 세계 4위, 런던올림픽 금메달 개수로 세계 5위를 차지한 한국은 이제 엘리트 체육에 있어 2014소치동계와 2016리우데자네이루 하계 올림픽에서도 세계 5~6위를 차지함으로써 국민에게 감동과 영광을 주고 국위선양에 이바지해야 한다.

대한체육회의 연간예산 1350억원은 모두 국세나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나오며 모든 체육시설도 국가가 건설, 유지한다. 훌륭한 선수 발굴, 좋은 지도자에 의한 훈련, 지원, 실전 원정, 최상의 컨디션 유지에 힘을 쏟을 때다.

메달 경쟁은 미국· 영국· 중국· 독일 ·러시아· 호주· 일본 등(한국 포함) 상위 10개국의 '무기경쟁(Arms race)'이 된 지 오래다. 금메달 후보종목, 메달 후보종목, 메달 가능성 종목, 기타 육성 종목별로 중점적으로 훈련하고 지원하는 것이 상식이다. 한국은 세계에 자랑하는 태릉선수촌에서 일년 내내 대표 및 후보 선수들을 육성한다.

또 국민건강과 스포츠진흥의 근간이 되는 학교체육을 바로 잡는 시점에 와 있다. 스포츠를 통한 심신단련, 전인교육, 학교폭력근절, 게임중독치유 등을 통해 시들어진 학교체육을 강화해야 한다. 일본이 무도 '1인1기(一人一技)'를 하듯이 한국도 스포츠 1인 1기 정책을 펴는 것은 좋은 시작이다.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학교에서의 스포츠 필수 정책도 참고할 만하다.

심신단련과 건전한 지역사회 건설은 고령화 시대에 그 중요성을 더한다. 전시용이 아닌 국민을 위한 체육시설과 지도자 프로그램이 추진돼야 한다. 이제 건강한 사람과 아픈 사람도 함께 오래 사는 시대다. 이는 의료기술, 의료기기, 약품개발, 여행, 취미생활, 예방운동 덕이다.

고령화 시대에 건전한 지역사회를 육성하는 것은 의료비절감, 복지정책과 직결되고 지역의 생산성에도 연결된다. 선진국처럼 대기업의 지역사회 건전화를 위한 투자도 유도할 만하다.

한국은 올림픽 등 주요 국제대회와 종목별 경기 유치를 원하는 나라로 다른 국가들의 시샘도 받고 지나친 경제적 지원을 내거는 '봉'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그동안 많은 경기를 유치해 스포츠강국다운 면모를 보여줬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무조건 경기를 유치하고 정부에 손을 내미는 행위는 이제 그만 두어야 할 때가 됐고 경기 유치를 조정하는 기관이 있어야 한다.

2002한일 월드컵 공동개최 때도 당시 IOC 위원장의 실용적인 권고를 무시하고 조그마한 땅에 10개의 축구장을 건설해 그 가운데는 문을 닫은 데도 있고 유지에도 적잖은 돈이 들어가고 있는 곳도 있다. 당시에 다목적 시설의 축구장을 지었으면 더 나았을 것이다. 이번에도 주경기장이 있는데도 불구, 새로 짓기 위해 600억원을 2014년 아시안게임 경기장 신축 비용으로 배정해 물의를 일으켰다. 복지와 국방 관련 예산이 부족한데 말이다.

21세기 세계무대에서 경쟁하기 위해 국가자산을 투입하고 엘리트체육, 학교체육, 생활체육을 조화롭게 육성하고 고령화시대에 생활건강을 이룩하고 장애자체육도 관리하고, 이미 유치한 종합경기도 성공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치르기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체육국이 청소년체육부로 독립하기를 체육인들은 고대하고 있다.

청소년체육부는 청소년의 사회참여와 선수의 고용창출, 선수의 장래보장 문제도 다룰 수 있다. 비록 이번 정부 개편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적절한 시기에 성사되기를 기대한다.

지금 체육계는 대한체육회와 산하 경기단체장 선거가 한창이거나 앞두고 있다.

국가의 막대한 투자 없이는 올림픽 유치도 불가능하고 메달 따기도 힘든 시대에 대한체육회의 연간예산1350억원과 시설 건립과 유지를 국가에 의존하는 체육계마저 횡령, 탈세 등으로 국민의 지탄을 받는, 경제 민주화의 대상이 되는 대기업의 장(長)이 대한체육회 이사진과 체육단체장을 독점하다시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호주· 일본 등 선진국에는 없는 현상이다. 자신의 일이나 사업에 전념하려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특별한 경우를 빼고는 체육은 체육인이 이끌고 대기업은 후원, 프로팀 육성, 지역사회 건전화를 위한 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치인의 지나친 체육단체장 독식도 체육 발전에 도움이 안되며 이는 자칫 파벌 조성만 할 수 있다. 과연 자신이 맡고 있는 스포츠에 헌신하고 세계 무대에서 스포츠 외교를 펼칠 시간과 능력이 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태권도의 올림픽 잔류 문제도 9월 부에노스아이레스 IOC총회에서 다뤄진다.

26개 종목에서 한 종목을 빼고 야구· 소프트볼· 가라테· 우슈 등 대기 종목에서 한 개가 들어간다. 세계태권도연맹(WTF)은 잔류 문제에 대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하고 있지만 IOC 주변에서는 그다지 안전하지 못하다는 정보도 나돌고 있다.

IOC 내에 바람막이 역할을 해줄 '보호자'가 없다고도 하고 잔류 가능성은 50대50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간 IOC 윤리위원회에 의한 WTF의 행정과 재정에 대한 경고, 2008베이징올림픽에서의 심판구타사건, 전자호구문제, WTF의 국제화에 역행하는 한국인 일색 문제, 북한이 주도하는 국제태권도연맹(ITF)과의 1개 스포츠 2개 국제연맹 통합 문제, IOC 내의 WTF 보호세력 부재 등으로 안전치 못하다는 문제점을 9월 이전에 어떻게 극복해 IOC위원들의 지지를 얻느냐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안토니오 사마란치 IOC 위원장과 김운용 부위원장이 건재했던 1994년 파리 IOC총회에서는 태권도가 85대0으로 올림픽 정식 종목에 채택됐지만 2005년 싱가포르 IOC총회에서는 과반수를 겨우 넘겼고 그 수는 가라테보다 적었다.

외교 문제 해결은 '쇼(Show)'나 '설마'를 갖고는 통하지 않는다. 참여정부가 WTF의 장(長)을 태권도와 전혀 관계없는 문외한을 일방적으로 갖다가 앉혀 놓은 행위가 태권도의 발전은 둘째 치고 태권도의 분열을 조성하고 올림픽 종목 퇴출까지 위협받는 지경에 빠뜨린 것이다.

태권도의 총 본산인 국기원은 정부의 지원도 없이 지난 1972년 개인의 힘으로 건립돼 무도정신과 전통을 유지하면서 태권도의 국기화, 세계화의 본산으로서 역사를 찾고 룰을 만들고 관(館) 통합, 승단심사 통합을 해 역사를 만들어왔다.

WTF와 국기원을 창설할 때 대한태권도협회는 태권도 종주국의 뿌리로서, 또한 세계 스포츠 룰(Rule) 속에서 태권도의 세계화를 주도하기 위해 1973년 제1회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를 개최했다.

국기원은 재단법인 형태에서 태권도의 무도로서의 정신과 전통을 유지하며 승단, 교육, 연구를 담당하고 재정 기반이 없는 WTF와 대한태권도협회를 지원하는 기구로서 삼위일체(三位一體)로 발전해 지난 1994년 태권도의 올림픽 채택의 밑거름이 되기도 했다.

이제는 집중된 힘을 발휘하던 삼위일체가 무너진 지 오래 됐고 국기원은 그간 재단의 해산 결의도 없이 문화관광부(당시 장관 유인촌)에 의해 특수법인으로 흡수되고 재단법인 임원의 사표를 받고(그렇다고 정부의 재정 지원이 있는 것도 아니지만) 임원을 지명했다.

방대한 재정 투입으로(한편 정치적으로) 무주에 건설 중인 태권도공원은 실효성이 있는지? 국기원과 어떤 관계를 설정할지? 어쩌면 국기원이 인위적으로 태권도공원에 흡수될 운명에 놓인지도 모를 일이다. 지금은 소림사에서 수련하듯이 입산수도(入山修道) 하는 시대는 아니다. 국기원 문제에 대한 신중한 재검토와 재정립이 필요하고 잘못됐으면 국기(國技) 태권도의 백년대계를 위해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뉴시스>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