숱한 논란 속 6개월 만에 흑자 및 100% 정상 가동 실현...지자체 넘어 국가차원서 제주도 글로벌 녹색산업 메카로 육성 필요

 
지난해 7월 출범한 제주에너지공사(사장 차우진)는 제주도가 가진 청정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자립은 물론 창출한 수익을 도민에게 환원하는 중장기 에너지 정책 수행의 컨트롤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이상기후변화와 관련한 정책을 추진하는 전 세계의 흐름에 맞춰 기존 에너지를 100%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한다는 ‘카본프리 아일랜드’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제주에너지공사는 이에 대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낸다.

사실 설립초기 노후화된 풍력발전 시설 수리 지연 및 시설물수리비 부족 등 경영기반이 취약해 공사 운영에 어려움을 겪어오는 등 숱한 논란을 불러오기도 했다. 그러나 양질의 풍력자원을 활용하고 풍력발전 사업 업체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제주에너지공사의 설립은 선택이 아닌 제주도가 가야할 운명이나 다름없었다.

특히 갖가지 루머 속에 출범한 제주에너지공사는 출범 4개월 후인 11월 풍력발전시설 현물출자를 완료하고 빠른 시일 내에 고장 난 발전기의 완전 정상가동으로 전력판매 수입을 극대화해 올해는 116억 원에 이르는 전력판매수입으로 안정적 재정운영기반을 마련했다.

또 올해에는 구좌읍 동복리에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사업을 추진해 제주도민의 염원인 풍력자원의 공공적 관리 정책을 차근차근 밟아가고 있다.

# 공사출범은 ‘선택’ 아닌 ‘운명’

지난 여름 제주는 기상관측 이후 기록적 가뭄과 폭염으로 전력수급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어왔다. 제주지역의 경우 자체에서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은 약 59만kW에 불과하지만 지난 8월 9일 전력사용량은 사상 최대인 71.6만kW까지 치솟았다.

제주의 전력공급은 도내 설치된 3개의 화력발전과 해저케이블을 통한 전력수급, 신재생 에너지 등 3가지 방식으로 이뤄진다.

그러나 지난여름과 같이 육지부의 전력 비상사태가 발생되고 해저연계선을 통한 전력공급이 차질이 생기면 제주도는 결국 블랙아웃 사태에 직면하게 된다. 또 도내 관광객이 급증함에 따라 15만kW의 해저연계선과 도내 발전시설 가동에 의존해야 하는 제주도로서는 전력공급이 더욱 불안정한 상황에 놓일 수밖에 없다.

결국 제주도는 지역에너지 자급을 위한 대책으로 2010년 ‘카본프리아일랜드 2030(Carbon Free Jeju by 2030) 정책을 수립했다. 제주도는 이 정책을 실현시켜 나가야 하는 주체가 필요했고 바로 제주에너지공사는 그 중추가 되고 있는 것.
 

▲ 차우진 제주에너지공사 사장
차우진 사장은 “카본프리 아일랜드 계획을 실현하고 제주 공공자원인 바람 등 공적자원을 통해 발생하는 이익이 보다 합리적으로 도민에게 환원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며 “친환경 에너지발전을 통해 제주도의 에너지자립을 이끌어 나가는 것이 제주에너지공사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제주에너지공사가 직접 운영 중인 풍력단지는 행원풍력(10..55MW) 신창풍력(1.7MW) 가시리풍력(15MW) 등 총 29기 28.75MW 규모다. 앞으로도 총 600억 원을 투자해 2014년까지 30MW 규모의 풍력단지를 추가로 건설한다는 로드맵도 수립했다.

특히 30㎿ 육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시작으로 태양광, 폐기물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바이오에너지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단계적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 출범 6개월 만에 흑자실현 및 풍력발전 100% 정상 가동

도민의 성원과 기대 속에 출범한 제주에너지공사는 출범 6개월 후 결산결과 흑자를 실현했다. 신속한 풍력발전단지 운영 정상화로 당초 예상했던 전력판매수익보다 많은 전력판매수입 24억441만6000원을 기록했다.

또 당기순이익 2억2074만원, 실질적 영업이익 80억3700만원을 달성하고 수선충당금 적립금 10억5000만원, 이월재원 21억7069억 원은 올해 풍력개발사업비로 사용하는 등 안정적 경영기반을 마련했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기술진 및 자체인력을 총동원해 노후화된 풍력발전기를 유지 보수해 왔다. 특히 제조업체에 수리보수를 의존하던 관행에서 탈피, 다양한 전문 업체를 발굴해 수리비 7억2500만원을 절감하고 행원 외산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수리에 국산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전문 제작업체와 협력해 폐기된 발전기의 블레이드를 재활용함으로써 시간과 비용도 절감했다.

이와 함께 고장예방 및 신속한 수리가 가능토록 체계적 풍력발전기 운영관리 시스템도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현물출자를 받아 운영 중인 4개 풍력단지 100% 운영 정상화를 이뤘다. 또 전년대비 이용률을 7.9% 증가시키고 MW당 전력판매수익금도 30% 향상시켰다.

특히 국내 최초 풍력단지인 행원풍력의 경우 공사 출범 당시 10년이 넘는 오랜 가동으로 노후화 되어 민간 풍력발전단지에 비해 이용률이 낮은 상태였다.
그러나 제주에너지공사는 운영 정상화를 위해 수립업체 다변화 등 다각적 방안을 모색하고 제조업체에 수리 보수를 의존하던 관행을 깨고 제작공장까지 발품 팔며 찾아다니며 전문 업체를 발굴해 정밀진단과 수리를 통해 수리 보수비용 7억2500만원을 절감함과 동시 정상 가동시켰다. 이를 통해 행원, 신창 등 이용률이 향상됐으며 이곳을 통해 1년 동안 벌어들인 수익금은 30억 원을 넘어섰다.

게다가 블레이드 전문제작업체와 협력, 폐기된 발전기의 블레이드를 재활용함에 따라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풍력발전 컨설팅 및 수리전문업체를 통해 부품 조달과 교체도 진행했다. 또 풍력발전기의 체계적 점검을 위한 매뉴얼을 구축하는 동시 실시간 수리체계를 확립했다.

풍력발전기의 일시적 고장에 바로 대응키 위해 요 모터, 오일, 윈드 베인 등 300여 가지에 달하는 예비부품도 항시 보유하고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해 실시간으로 풍력발전기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 제주 바람자원 공공적 관리 본격 추진

1년 만에 정상화를 이뤄낸 제주에너지공사는 제주 바람자원의 공공적 관리 정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동복리 30MW 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과 행원풍력발전단지 1.65MW 발전기 증설 사업이다.

특히 동복리 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은 오랜 기간 채석사업으로 주변부지가 상당히 파여 있고 그 활용에 한계가 있는 부지에 신재생에너지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는 현재 제주도내 풍력발전의 30% 정도 관리하고 있는 제주에너지공사가 제주의 바람으로 얻는 수익을 조금 더 도민에게 환원할 수 있는 밑바탕도 될 수 있다.

또 북촌리 마을 주민들의 요청이 있을 경우 북촌리 채석장 주변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도내 기업의 공동도급의무화 정책도 추진된다. 공사영역 입찰에 도내 업체가 35% 지분으로 원도급 참여하는 등 지역 업체의 참여를 제도화 해 향후 추진할 이 공사 중 토목, 건축, 전기공사에도 도내기업 공동도급 시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다시 말해 도민 환원을 비롯해 도내 관련기업의 기술력 증진과 일자리 창출 등 제주지역 발전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는 것.

# 제주 바람, 전 세계로~

제주에너지공사는 제주의 품질 좋은 바람자원을 전 세계로 수출하기 위한 초석을 다질 계획이다.
이를 위해 풍력발전 성능평가기관으로 인정받기 위해 5개년(2015~2017) 육성발전 계획을 세우고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에는 김녕 실증연구단지를 기반으로 KOLAS 인정, 상호협력체제 구축은 물론 성능평가 기술 개발 및 형식시험장을 구축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특히 제주에너지공사 연구기술센터를 국제적 성능평가기관으로 인정받기 위해 KOLAS(한국인정기구)의 인정을 획득하고 상호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외부 인증 및 성능평가기관과 협력체제를 구축해 풍력발전기 성능평가 기술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 ‘국가차원의 지원’ 가장 큰 과제

 
제주에너지공사는 해상풍력사업에도 뛰어 들었다. 한림, 대정지역을 해상풍력사업지구로 지정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육상풍력과 달리 해상풍력사업은 투자비용도 3배 정도 많을 뿐만 아니라 운영관리 측면 등 전체적으로 위험요인을 클 것으로 전망돼 국내외에서 지켜보는 시선이 뜨거워지고 있다.

이를 감안해 제주도풍력발전종합관리계획에서도 해상풍력은 시범사업으로 먼저 추진하고 2단계 사업으로 제주에너지공사가 도 전역에 걸친 해상풍력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계획돼 있다.

특히 지역주민의 이해관계 조정, 민원, 환경, 영향평가, 군통신 등 풀어야 할 숙제도 산적해 있다.

또 2030년까지 2G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10조원에 달하는 예산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국가차원에서 ‘Cabon Free Island by 2030'을 함께 실현해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개발에 참여하는 기업과 도민의 협력도 중요하다. 기업은 제주의 환경과 경관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고 지역주민과 상생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맞춰 송배전 등 기반시설을 확충 발전시키는 것도 큰 과제다.

차우진 사장은 “제주도는 전국에서 가장 품질 좋은 바람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풍력발전사업의 최적지”라면서 “결국 지자체를 넘어 국가차원에서 Cabon Free Island by 2030을 함께 실현해 나감으로써 글로벌 녹색산업 메카로 제주도를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