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훈 소장, 행정편의 주의, 마스터플랜 부재 등 지적


 


전문가 부족과 운영의 마스터플랜이 부재한 4‧3평화기념과 정상화를 위해 민간에게 이양해야함은 물론 운영활성화를 위한 미래상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3 평화와 기억’이라는 주제로 제주4‧3연구소가 창립 19주년을 맞아 12일 제주대 국제교류회관에서 개최한 학술심포지엄에서 박경훈 제주전통문화연구소장이 ‘4‧3평화기념관의 문제점 분석과 대안 모색’ 주제발표를 통해 주장했다.


 


박 소장은 이날 심포지엄 주제 발표를 통해 4‧3평화기념관의 문제점으로 행정편의주의를 비롯해 기념관 마스터플랜 부재, 평화재단 파행, 평화기념관 독립성 상실, 기념관 알리기 부재 등을 지적했다.


 


박 소장은 “기념관은 전시연출전문가를 비롯해 사료전문가, 보존처리전문가 등에 의해 직제를 짜고 이들을 중심으로 관장 독임제 하에 책임운영이 이뤄져야 한다”고 언급하며 “하지만 평화재단을 이유로 전문적인 기념관운영체제의 도입이 미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기념관은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전문가가 없음은 물론 기념관 업무를 공무원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어 전문성이 없다”고 비판을 가한 박 소장은 "평화공원은 역사적 평가와 사회적 공론화과정의 합의를 거쳐 민주적 절차에 의해 들어섰음에도 모든 것을 제주도 행정이 쥐락펴락하고 있다"며 "4‧3사업소를 중심으로 제주도가 행정편의주의에 의해 시설기구가 운영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와 함께 평화기념관이 마스터플랜 부재와 관련해 박 소장은 “기념관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기관에 의뢰하거나 프로젝트팀을 구성해 마스터플랜을 수립해야 한다”며 “이를 통한 예산 투입은 물론 국내외 다양한 민간단체와의 연계를 통한 활성화 모색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게다가 평화재단이 정상화 되더라도 기념관은 별도의 독자성을 확보되야 함을 주장한 박 소장은 “4‧3의 역사성과 진정성을 지닌 관장이 책임 하에 기념관에 필요한 필요인력을 채우는 것이 중요하며, 기념관 업무는 업무의 성격별 역할분담과 협조체계가 긴밀성을 유지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소장은 평화재단에 대해 “평화재단은 공원과 기념관, 3단계 사업 및 앞으로 있을 4‧3선양사업 등 모든 면에 걸쳐서 일을 할 수 있는 기관”이라 언급하며 “재단이 4‧3 진상규명에는 관심이 없는 사람들로 채워져 예산과 사업을 한다면 제2의 5‧18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4‧3평화기념관 문제해결을 위해 박 소장은 “평화기념관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제주도가 4‧3의 역사성과 진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민간에 이양해야 한다”며 “공원의 시설관리는 행정에서 운영은 민간에서 주도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외에도 박 소장은 “기념관의 미래상을 재정립함은 물론 다양한 방문객 프로그램, 국제네트워크를 통한 국제화, 평화와 인권과 관련한 국내외 민간단체와 연계 등의 마스터플랜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재남 기자/저작권자 ⓒ뉴스제주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