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영상산업, 인재 키운다더니…지원금 퍼주기 말고 '내실' 키워야"

▲ 대여장비 게시판이 3년간 업데이트가 이뤄지지 않고 로케이션 정보가 지난해 끊기는 등 제주영상위의 홈페이지 관리 실태가 '엉망'인 것으로 드러났다. ⓒ영상위 홈페이지 캡처.

제주도는 2003년 부산‧전주‧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4번째로 발 빠르게 제주영상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지역 영상산업과 인재를 육성해 21세기 고부가가치 콘텐츠를 개발하겠다는 방침이었다. 이후 11년간 제주도의 막대한 지원 속에서 영상위의 몸집은 점점 불어났지만, 속은 텅텅 비어간다는 비난이 들끓었다. <뉴스제주>는 ‘제주도 영상산업의 구심체’에서 ‘총체적 부실’이라는 오명을 덧칠한 영상위의 실태와 문제점을 짚었다. [편집자 주]

[영상위11년]③ 3년간 장비대여 인원 0명? 홈페이지 관리 ‘엉망’

제주영상위원회(위원장 도지사, 이하 영상위)의 ‘얼굴’인 홈페이지 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영상위 홈페이지를 살펴보면 제주도에서 촬영하는 작품 현황을 꼼꼼하게 공개해야 할 '로케이션 정보' 게시판에 2012년 1개, 2013년 2개 게시글이 작성된데 이어 올해는 업데이트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장비임대안내' 게시판의 경우 실제로 1~10만원의 비용을 들여야 하는 고급편집실의 임대비가 '0원'으로 표기돼 있는 등 엉망으로 관리되고 있었다.

심지어 '대여현황' 달력 게시판의 경우 2011년 10월 17일 이후 약 3년간 아무 것도 표기되지 않아 영상위가 대여사업을 하고 있는 것인지조차 의심케 했다.

반면 서울영상위와 부산영상위의 경우 세미나실, 회의실 등 부대시설 대관 현황 게시판에 예약한 단체, 시간 등이 구체적으로 기재돼 있어 제주영상위와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영상업 종사자 최모(35)씨는 “촬영 장비를 빌리거나 정보를 얻고 싶어서 홈페이지에 들어가도 알 수 있는게 없으니 답답하다”며 “영상위가 지역 영상산업과 인재를 육성한다는 본래의 취지는 잃고 지원금 퍼주기에만 혈안이 된 것 같다. 내실을 먼저 키워야 하지 않겠냐”고 불만을 표했다.

뿐만 아니라 영상위가 빌려주는 촬영장비 또한 홈페이지에 제대로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부산영상위의 경우 50여개에 달하는 최신식 카메라와 음향장치 등이 빼곡이 등록돼 있지만, 제주영상위는 비교적 오래된 30여종의 장비만이 등록된 상태다.

김희섭(36) 제주영상위원회 주임은 “홈페이지에 등록된 것은 일부일 뿐”이라며 “등록되지 않은 장비까지 합치면 서울영상위에 이어 제주영상위가 2번째로 장비를 많이 갖추고 있다“고 주장했다.

영상위의 주장대로라면 혈세로 마련된 예산으로 고가의 장비를 구입했지만, 홈페이지에 등록하지 않아 도민들이 빌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 수년간 홈페이지 관리가 원활하지 않았던 점과 관련해 ”올해 상반기에 홈페이지 개편을 끝내려고 했으나 예상대로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다소 엉뚱한 해명을 내놨다.

홈페이지 관리조차 제대로 되지 않는 ‘부실 기관’에 제주도가 올해만 19억5000만원의 혈세를 쏟아 부었다는 비아냥이 쏟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