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하루방의 쓴소리/ 단소리]

▲ ⓒ뉴스제주
읍면동장 ‘향피제(鄕避制)’ 즉, 해당 지역출신 공무원들을 일부러 읍면동 인사에서 배제한 정책이 지역 주민들과 행정기관 간 괴리감이 상당히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민선6기 원도정이 야심차게 추진한 ‘향피제(鄕避制)’가 존폐의 중대 기로에 놓이고 있다.

민선6기 원 도정이 출범하면서 읍·면장 인사에 향피제를 도입이 필요성에 대해 “혈연·지연 등 연고주의에서 벗어나 일 중심의 행정집행이 가능하고 공직 분위기가 쇄신될 수 있다”며 향피제의 긍정적인 부분을 대대적으로 부각시켰다.

그러나 막상 향피제가 도입되면서 각 지역마다 문제가 연이어 터졌다.

대표적인 사례로 성산읍을 꼽을 수 있다.

최근 성산 주민들을 주축으로 하는 4도항선 사업이 불거져 나오면서 이에 대한 성산주민들과 우도 주민들 간 기싸움이 이어지면서 지역 간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하게 되었고, 제주시와 서귀포시 각 행정시 간 기싸움으로 확대되어 가는 형국이다.

이러한 상황속에서도 각 행정시와 주민들 간 이해관계에 대한 정확한 상황판단과 그에 따른 설득작업에 나서야 하는 성산읍은 지역적 한계와 주민들과의 공감대 부족으로 인해 절충해야 하는 책무를 망각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이러하듯, 지역실정에 어두운 읍·면장들이 지역적 정서와 엇갈리면서 적극적인 행정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지역적 공감대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들이 주민과의 소통에서 엇갈리면서 불신이 증폭되는 사례가 매번 터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러한 논란이 일자 제주정가에서는 전임 우근민 도정 인사 물갈이를 위한 명분용 카드라는 해석도 이어지기도 했다.

이와 더불어 행정시와 각 읍.면동 권한 강화에도 역행하는 제도로 원 도정의 출범 당시 협치와도 동떨어진 정책이라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얼마 전 도의회가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조사에서도 향피제에 찬성하는 의견( 29%)과 향피제에 반대하는 의견 (30.5%)이 대등했다.
그러나 절충해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40.5%로 상당히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한편, 민선6기 원도정 출범 이후 인사개혁 차원에서 제주가 아닌 외지출신 박정하 정무부지사와 김현 협치정책실장을 과감히 등용했지만 의회와의 소통 부재로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지역정서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인사들을 소통의 현장에 두고 업무를 수행하는 것은 ‘무에서 유를 찾은 격’과 같은 막막한 허상에 불과하다는 평가다.

능력도 중요하고,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 다 좋다.
그러나 지역주민들과의 공감대가 형성되는 소통 없이는 해당 지역 정서에 완전히 녹아들지 않게 때문에 가슴으로서 받아들여야 하는 정책들이 머리로만 인식되다 보니 지역 주민들과 엇갈리는 모습이 이어지는 것이다.

향피제 철폐를 하던, 절충점을 찾는 제도를 만들던 간에 이 모든 사항의 결정권은 원 지사의 선택이다.

지역 주민들과 공감대 형성을 통한 소통이야 말고 원 도정이 추구하는 협치의 근본 근간이라는 것을 서둘러 인식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