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발전연구원, 단기 내 산업입지 확보를 위한 대응책 마련 요구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제주되 지역발전과 더불어 청년 일자리 마련에 국내, 외의 유망기업 유치를 하겠다는 방침이 헛구호에 그칠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제주발전연구원(원장 강기춘) 한승철 책임연구원은 ‘제주지역 산업입지 정책과 향후과제’에 대한 정책이슈 자료를 내놨다.

한승철 첵임연구원은 “용암해수단지, 첨단과학기술단지 등이 모두 포화상태로 미분양면적이 남아 있지 않아 유망 중소기업 유치가 구호에 그칠 우려가 있다”며 이에 대한 제주도의 대응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한 책임연구원은 “단기 내에 산업입지 확보를 위한 대응책 마련이 절실하며, 제주지역 산업용지 수급에 관한 중장기계획 로드맵에 따른 추진 및 산업단지에 대한 도민인식 제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책임연구원은 대응방안으로 총량적 관점, 산업구조적 관점, 기업 수요 및 산업의 합리적 배치 관점에서 제주지역에 산업단지 추가 조성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먼저 총량적 관점에서 제주도시첨단산업단지, 제2첨단산업단지가 계획대로 3~4년 후 조성․완료되더라도 제주지역 산업단지 수는 총 7개로, 전국 1,098개의 0.64%에 그치는 등 전국평균 산업단지 공급상황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전국 최소 수준임을 지적했고, ▶ 산업구조적 관점에서 제조업 비중을 늘리고 제조기업의 집적을 위해서는 산업용지의 확대가 전제되어야 할것을 주문했으며, ▶ 기업 수요 및 산업배치 관점에서 그동안 농공단지 외에는 실제 제주 향토기업의 입지공간 제공이 미흡하므로 향토기업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산업단지 추가 조정 검토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산업단지 미분양면적이 부재할 경우, 기업이 개별토지에 입주하게 됨으로써 기업간 협력 및 정보교류, 산업클러스터를 통한 효율화를 도모할 수 없음을 지적했다.

현재 제주지역 제조업체 중 4.3%만이 산업단지 내에서 가동되고 있고, 화북, 토평 등 2곳의 공업지역을 포함하더라도 19.8%만이 집적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한 책임연구은 향후과제 4가지를 꼽았는데, 그 내역을 보면 ▶ 단기 내 산업입지 확보를 위한 TF팀 구성, ▶ 제주지역 산업용지 수급에 관한 중장기계획을 수립하여 로드맵에 따른 추진 필요, ▶ 농공단지 등 기존 단지의 활성화 정책 모색, ▶ 산업단지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이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