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개정된 초등학생 사회교과서 '제주4.3' 단 한 줄 언급 없어
제주도교육청, 4.3 교육 명예교사제도 운영하고 있지만 '한계'

초등학교 사회과 개정교과서에 제주 4.3 사건이 단 한 줄의 언급도 없어 ‘4.3 사건’이 제주도만의 역사가 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새롭개 개정된 6학년 사회교과서에도 ‘제주 4.3’ 사건이 빠진 것은 현대사를 다루는 정부의 시각이 고르지 않다는 방증으로 읽혀 더욱 우려를 낳고 있다.

노무현 정부때 '제주4.3'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제주4.3' 국가추념일 지정을 약속해 '제주 4.3'은 완전한 해결을 앞두고 있는 듯 보였다.

실제 지난 2013년 6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제주4.3 사건을 국가추념일로 지정하고 희생자들에 대한 명예회복과 유족족들에 대한 국가 지원 근거를 담은 제주 4.3 특별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박근혜 정부는 공약대로 2014년 1월 17일 제주 4.3 사건 희생자 추모기념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제주사람들만의 행사로 치러졌던 위령제를 대한민국 정부가 주관하도록 했다.

▲ 초등학교 사회과 개정교과서에 제주 4.3 사건이 단 한 줄의 언급도 없어 ‘4.3 사건’이 제주도만의 역사가 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뉴스제주
▲ 광주 5.18 민주화항쟁의 경우 ‘자유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의 목차로 사회교과서 135쪽에 비교적 자세히 서술돼 있다. ⓒ뉴스제주

배려는 거기까지였다. 박근혜 정부는 제주4.3사건을 국가추념일로 격상하고, 역사책에서는 슬그머니 빼버리는 모순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대통령이 4.3 평화공원에서 고개를 숙이고 애도를 표하는 모습은 올해도 보기 힘들 전망이다.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4.3 추념일에 박근혜 대통령은 불참석하기로 결정해 둔 상태기 때문이다.

제주도교육청에서는 4.3 역사 교육이 부실해질 것을 우려, 이석문 교육감은 2015년부터 4.3 계기교육을 의무화 했다.

이석문 교육감은 지난해 3월 21일 개최된 '4.3 평화인권 교육 기초과정 1기 직무연수'에 첫 강좌 강사로 나서 강의 말미에 "4.3 교육은 결국 교사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교사들이 아이들에게 평화와 인권의 소중함을 전하는 창(窓)이 돼주길 바란다"고 당부한 바 있다.

또한 이 교육감은 '4.3 평화인권 교육의 필요성과 교사의 역할'을 주제로 강의한 자리에서 "앞으로 모든 교실에서 제주 정체성 교육을 진행하겠다“면서 ”4.3평화인권 교육이 그 시작"이라고 말했다.

▲ 지난해 4.3 평화인권 교육 특강에서 이석문 교육감이 첫 강사로 나서 교사들에게 4.3 평화교육의 중요성을 당부하고 있다. ⓒ뉴스제주

제주도의 이런 관심과는 대조적으로 개정교과서에는 8.15 광복과 대한민국 수립을 110쪽에서 118쪽까지 서술하고 있지만 제주 4.3 사건에 대한 언급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또한, 민족의 상처, 6.25전쟁을 기술한 120쪽에서 125쪽에도 제주 4.3 사건의 내용은 빠져있다.

반면, 광주 5.18 민주화항쟁의 경우 ‘자유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의 목차로 이 책 135쪽에 비교적 자세히 서술돼 있다. 5.18민주화운동이 이후 아시아 여라 나라의 민주화에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해 의의가 있다.

'제주4.3사건'이 ‘제주도의 역사’에서 ‘전국적 역사’가 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