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 상품품질기준 개선 방안 토론회 15일 개최

제주산 노지감귤이 수십년째 생산돼 오고 있지만 상품 선별기준이 여전히 크기에만 맞춰져 있어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이에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인단체협의회(회장 문대진)는 15일 감귤의 상품품질 기준을 크기뿐만 아니라 당도에 의해서도 결정되는 방안을 두고 토론회를 개최한다.

▲ ⓒ뉴스제주

그동안 감귤의 품질기준은 크기 중심으로만 설정돼 왔다. 현행 조례에 따르면, 크기 구분에 따라 5단계로 나눠져 있으며, 기준 당도 이상일 때만 유통이 가능했다.

하지만 이 제도로는 맛있는 감귤이라도 규격에 맞지 않으면 유통이 금지됐고, 맛 없는 감귤이라도 크기 규격에 맞으면 유통이 허용돼 왔다.

조례상 기준당도는 시장에 유통되는 최소한의 기준이지만, 생산농가에선 목표치가 돼버린 상황이다. 이러한 불합리함 때문에 행정에서 고품질감귤 생산을 목표로 한다해도 생산과 유통단계에서 걸러지지 않아 시장에서 소비자로부터 외면받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제주도정은 지난 7월 1일엔 서귀포시에서, 5일엔 제주시에서 조례 시행규칙 개정을 위한 토론회를 갖고 농가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했다.

현재 제주도정에서 개정하려는 방향은 현행 기준과 당도 기준을 병행하겠다는 입장이다.

현행 크기로 구분하는 5단계 상품기준을 종전과 같이 그대로 유지하면서 추가적으로 일정기준 이상 고품질감귤에 대해선 규격 및 비규격과에 관계없이 상품으로 구분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면서 감귤농가에 인센티브를 부여해서 고품질감귤 생산 의욕을 높이겠다는 발상이다.

하지만 이럴 경우, 출하량이 증대될 우려가 발생한다. 아직도 제주도정에선 노지감귤의 한 해 적정 생산량이 몇 톤인지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 못하는 상태다.

게다가 올해 생산 예상량이 무려 62만 톤을 웃돌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당도 기준으로도 상품이 선별돼야 하는 건 맞지만, 현행 크기에 의한 선별 기준을 고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경우 생산량이 늘어날 것은 자명하다.

이 때문에 두 차례 토론회에서 찬반 의견이 대립돼 합의점에 도출되지 못했다.

토론회는 이날 오후 2시 국립종자원제주지원 대강당에서 개최되며, 윤창완 감귤특작과장이 주제발표에 나선다.

토론은 제주대학교 현해남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되며, 제주감귤농협 김용호 조합장, 전농연 김윤천 감귤분과위원장, 서울청과 고태호 차장, 산남감귤영농조합법인 강응선 대표와 농가에서 2명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