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공에서 바라본 제주시 원도심 모습. ⓒ뉴스제주

지난해 하반기 이후 거래량 감소와 주택수요둔화 등으로 제주도내 부동산 가격이 조정될 조짐을 보이면서 부동산 가격 하락에 대한 기대도 확산된다.

제주지역 인구 순유입 증가율이 둔화돼 과열됐던 부동산 시장도 차츰 진정세로 접어들면서 가계부채 증가율도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사드 배치로 인해 제주의 중국 자본 투자가 위축된 것도 한몫했다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사드 사태로 인한 관광수입 축소 등 대내외 리스크가 확산될 경우 금융기관 연체율 상승, 가계소비 위축 등 지역 금융안정과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가계부채 급증은 도내 인구 순유입 증가, 주택 및 토지가격 큰 폭 상승 등이 영향을 끼쳤다. 2014년말 6.2조원에서 2017년 1월말 11.6조원으로 전국의 1.2% 수준으로 증가했다.

올해 1월말 현재 가구당 가계부체 규모는 5149만원으로 전국 평균치(4650만원)를 크게 상회한다.

GR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75%로 전국 평균치(58.2%)를 크게 상회하고 있으며 서울(76.2%)과 비슷한 수순이다.

인구 순유입 둔화와 부동산시장 과열진정, 금융기관 대출태도 강화 등으로 지난해 5월 이후 40%대의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던 가계부채 증가율이 지난해 12월부터 40% 아래로 소폭 둔화됐다.

부동산 가격 진정 뿐만 아니라 시중금리 상승과 금융기관의 대출 심사가 강화되면서 대출수요가 다소 줄어든 것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관계자는 "제주지역 가계부채는 여타지역과 달리 2015년 이후 가파른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그 규모가 경제규모 및 소득수준에 비해 매우 크다. 만기 5년미만 및 일시상환대출에 집중돼 있어 지역 금융안정을 저해할 우려가 높다"고 진단했다.

이어 "향후 미국 금리인상, 부동산 가격 조정 및 사드사태에 따른 관광수입 축소 등의 대내외 위험요소가 확산될 경우 지역금융안전과 경제성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커 질 수 있어 정책당국, 금융기관 및 도민 등 각계각층의 선제적 대응과 공조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