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집단에 몰린 명예도민 제도, 폭넓은 시야 필요

제주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한 타 지역 출신 인사에게 부여하는 '제주명예도민'.

지난 6일부터 진행된 제354회 제주도의회 임시회에도 10명의 인사들에 대한 명예도민증 수여대상자 동의안이 심사돼 본회의 최종 의결을 앞두고 있다.

제주 앞바다의 안전을 지키고, 구제역 파동 당시 방역 개선대책을 마련하고, 지역사회 숙원인 소방헬기 도입을 위해 발벗고 뛰고, 공직사회 비리를 엄단하는데 공을 세우는 등 각자의 자리에서 힘 쓴 이들에 대해 응당한 예우를 갖춘 결정이다.

그런데, 언제부터 였을까. 명예도민 위촉 대상은 공직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불편함을 마주하고 있다. 이번에 위촉된 10명의 명예도민 중에서도 9명이 공직자 출신이다.

그것도 일개 말단 직원은 넘볼 수 없는 소수의 '고위공직자'만이 명예도민으로서의 명예를 누리고 있다.

지난 8월 23일자 기준으로 제주명예도민은 총 1664명에 달한다.1971년부터 2005년까지 200여명의 명예도민이 위촉됐고, 특별자치도가 출범한 2006년부터 급격히 증가해 현재에 이르렀다.

이를 직업별로 분류하면 공직자가 768명, 기업인 256명, 학계 107명, 의회.의원 97명, 법조인 70명, 언론인 60명, 연구원 17명, 종교인 9명, 기타 182명으로 분류돼 있다. 

전체 명예도민의 절반 가량인 46%가 공직자인 셈이다.(이마저도 제주7대자연경관 투표 당시 논란이 됐던 수백여명에 대한 '무더기 명예도민 위촉'이 없었더라면 비중은 더 늘어났을 것이다)

제주와 연이 닿은 정부 부처 공무원이나 제주를 거쳐간 고위직 공직인사들은 대부분 명예도민으로 위촉됐다. 특정인은 직접적인 공은 없지만, 평소 제주에 자주 방문해 애착을 갖는다는 이유로 명예도민이 되기도 했다.

앞서 위촉된 명예도민들이 단지 공직자라는 이유로 공을 깎아내릴 의도는 없다. 그들은 그들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했고, 크든 작든 제주사회에 족적을 남긴 이들이다.

다만, 그들은 그들의 의무를 다했다는 점, 공직자로서 응당 해야할 일을 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금의 '명예도민 공직자 쏠림 현상'은 아쉬움을 남긴다.

또 명예도민에 위촉되는 이들 대부분이 중앙부처의 2~4급 공무원이거나, 제주에 파견된 경우도 서장급인 고위직에 몰려있다는 점도 되짚어봐야 한다. 각자의 자리에서 충실하게 업무를 수행해도 명예는 고위직에 돌아간다.

근 몇 년 새 이 같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명예도민 위촉은 이제 별다른 뉴스거리가 되지도 않는다.

위촉 기준이 다소 보수적인 것은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과거 몇몇 인사들의 경우 정치적인 견해 등으로 인해 명예도민 위촉에 강력한 '태클'이 걸리기도 했다. 기계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공직자는 이러한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더욱 폭 넓은 시야가 필요하다. 제주와의 네트워크를 더욱 끈끈하게 이어줄 민간차원의 명예도민 발굴에 더욱 주력해야 한다. 문화.예술 분야는 물론 정치계, 학계, 재계 인사들과의 교류에 힘써야 한다.

지금의 흐름이 지속된다면 제주명예도민 제도는 자칫 공직사회의 전유물로 전락해 스스로의 명예를 실추시킬 것이다.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