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내권 2만여개 가로등 관리담당 공무원 '1명' 그쳐
인구 40만 규모 타 시도, 팀조직 운영...개선방안 시급

   
▲ 쓰러진 가로등 ⓒ뉴스제주DB

지속적인 인구유입으로 인해 제주시의 도시규모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지만, 2만여개에 달하는 가로등 관리 인력이 불과 1명에 그치고 있어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2015년 기준으로 제주시에는 가로등 1만3917개, 보안등 2만766개가 설치돼 있다. 전체 3만4683개 중 동(洞) 지역에는 2만63개, 7개 읍면지역에는 1만4620개가 각각 시설됐다.

이중 동지역에 설치된 가로등 및 보안등은 제주시에서 관리하고, 그외 읍면지역에 설치된 시설들은 각 읍면이 담당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문제는 2만여개에 달하는 동 지역의 가로등 시설을 관리하는 인력이 단 한명에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제주시 '가로등.보안등 조성 및 유지관리 업무'는 건설과 건설행정 부서에서 전기직 공무원 1명이 담당하고 있다.

읍면 지역에 설치되는 가로등도 상황에 따라 제주시가 관할해야 할 경우 업무는 더욱 가중된다. 이미 공직사회 내부적으로 가로등 담당은 업무 과중으로 가고 싶어하지 않는 기피부서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 인구 40만명 내외 타 시도, 3~5명 '가로등관리' 부서 운영

비슷한 규모의 타 시도와 비교해보면 그 차이는 명확하다. 인구 40만명인 경기도 시흥시의 경우 3명, 42만명인 경북 구미시는 4명이 도로조명 관련 업무를 맡고 있다. 

인구 33만명 안팎인 경기도 광주시와 강원도 원주시도 각각 5명과 9명이 가로등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심지어 인구 10만명대인 경북 안동시와 경기 광양시의 경우도 3명에서 5명까지의 관련 업무 담당자를 두고 있다.

이들 도시의 경우 '도로조명', '가로등관리', '가로조명' 등의 명칭으로 6급 공무원을 담당으로 한 별도의 부서가 구성돼 있다. 적게는 3명, 많게는 8명으로 팀 조직으로 운영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제주시의 경우 7급 공무원 1명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특별자치도 출범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관련 업무를 맡고 있던 담당자가 적게는 3명에서 많게는 5명이었다는 점도 되짚어봐야 할 대목이다.

◇ 일몰 전후 교통사고 빈번...체계적 가로등 관리 필요

공교롭게도 가로등 업무 담당부서가 축소되고 있는 사이 제주지역의 교통사고 건수는 반비례로 증가했다.

'교통사고 통계현황' 자료에 따르면 제주도의 교통사고건수는 2006년 3276건에서 2014년 4844건으로 지난 9년간 48% 증가했다. 2014년 제주의 인구 10만명당 사망자수는 15.8명으로 전국 16개 시도 중 6위로 교통안전지수가 위협받고 있다.

이 기간 중 인구유입과 차량 증가세 등이 맞물렸기 때문에 단순 가로등의 문제라고 볼 수는 없겠지만, 일몰 전후로 교통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 봐야 할 대목이다. 

같은해 시간대별로 교통사고 현황을 분석한 자료를 살펴보면 오후 6시부터 8시까지의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596건으로 타 시간대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이에 대해 도내 모 교통 전문가는 "가로등 고장이 많아지고 신속하게 보수처리가 되지 않고 있어 도시 전체가 어두운 상황으로, 운전자 및 보행자들이 도로이용 시 보행자 식별이 어려워 교통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도로교통의 안전성을 증대하기 위해 도로조명 시설의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적어도 제주와 비슷한 규모의 타 시도 수준으로 가로등 업무 조직을 격상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