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세연기자]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항공기업 300개를 육성해 세계 7대 항공산업국가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마련했다.

 
기계와 정보기술(IT), 자동차, 부품 등 국내 기반산업과의 융합가능성이 높은 항공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적극 육성하겠다는 것.
 
이를 위해 핵심부품의 원천기술과 민간 완제기 개발을 위한 민관의 상호 기술이전은 물론 선진국 수준의 항공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한 맞춤형 금융지원도 추진된다.
 
21일 지식경제부는 오는 2019년까지 10년간 민간 항공기 개발 등  항공산업 육성을 통해 생산능력 200억달러, 수출 100억달러를 달성하고 세계 7대 항공산업 강국으로 성장하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오는 2020년 총7000억달러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항공산업은 조립공정에 많은 고급인력이 투입되는 등 고용창출 효과가 높고 부가가치도 선박과 자동차분야를 뛰어넘는 미래 전략산업로 항공기 제조산업과 항공정비서비스(MRO)를 포함한 산업분야다.
 
지난 2008년 현재 세계 항공산업 시장의 0.5%를 차지해 16위에 그친 한국은 부품분야에서만 총 20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뿐 항공기 수출과 항공서비스 분야에서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19년까지 완제기 개발과 핵심기술 확보에 나서 핵심부품과 정비서비스의 수출을 높이고 항공기술 연구개발(R&D) 효율성을 확대해 선진국 수준의 인프라를 마련키로 했다.
 
우선 기종별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민항기는 중형기와 민수헬기를, 군용기는 한국형 전투기(KFX)와 공격핼기(KAH) 등을 중점전략 기종으로 선택해 오는 2012년 이후 본격적인 개발에 나선다.  
 
핵심부품의 개발을 위해 군(軍)과 민간기업이 공동 기술개발은 물론 기술이전(Spin-off)이 추진되고 시장확대가 예상되는 개인용비행기(PAV)와 무인기, 친환경 항공기술 등 시장선점이 유리한 분야의 개발도 중점 추진된다. 
 
현행 최대 2%수준에 불과한 차세대 민항기 국제공동개발 사업의 전략적 파트너(RSP) 참여비율은 국내 중소기업이 컨소시엄 형태의 참여를 유도해 10%로 높일 계획이다.
 
청주 등 지난해 항공정비단지 지구로 지정된 일부 국제공항이 항공정비서비스(MRO) 공급 단지로 중점 육성돼 해외 유수의 항공정비 업체를 유치와 정비부품 연구개발의 국제적 허브로 활용된다.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의 회전율이 낮아 운영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항공분야 중소기업을 위해 매출채권의 금융상품화 등 금융지원제도가 마련되고 항공기 리스회사도 설립된다.
 
항공산업 '인력 풀(Pool)'이 도입돼 정부출연 연구소와 군 보유 연구 인력을 민간기업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지경부는 "국내 항공산업 생산의 대부분이 군수분야에 치우쳐있는만큼 민간부분의 경제적 향상이 시급하다"며 "항공산업분야의 발전가능성과 경쟁여력이 높은 만큼 지원을 강화해 항공기업을 300개로 늘리고 7만개의 고급일자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뉴스토마토 김세연 기자 ehouse@etomato.com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