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강정마을 주민투표 결정 3일만에 관함식 제주개최 공식 밝혀
강정마을회, 대통령 공식 사과 전제로 한 '찬성' 거듭 밝혔으나
해군기지 반대측 강정주민들 "이미 상생과 화합은 물 건너가" 비판

▲ 해군은 지난 7월 31일 관함식 제주개최를 공식 발표했다. 이에 해군기지 반대주민회 측이 끝까지 저항하겠다고 맞섰다. ©Newsjeju
▲ 해군은 지난 7월 31일 관함식 제주개최를 공식 발표했다. 이에 해군기지 반대주민회 측이 끝까지 저항하겠다고 맞섰다. ©Newsjeju

해군 관함식의 제주개최가 최종 확정되면서 제주 강정마을이 찬성 측과 반대 측으로 또 한 번 갈라서고 있다.

해군은 지난 7월 31일 보도자료를 내고 관함식의 제주개최 확정을 공식 발표했다. '2018 관함식'은 오는 10월 10일부터 14일까지 5일간 개최된다.

강정마을회는 주민투표를 재실시한 지난 7월 28일 이후 3일만에 관함식 개최 동의에 따른 공식 입장을 표명했다. 공식 입장이 나오자마자 해군 측이 곧바로 관함식 개최 사실을 공표한 셈이다.

단, 강정마을회는 관함식 행사 때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강정마을을 방문해 마을을 분열케 한 '제주해군기지(민군복합형관광미항)' 건설에 따른 사과가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이에 심승섭 해군참모총장은 "제주민군복합항건설사업 추진과정에서 강정주민을 비롯해 제주사회에 아픔과 부담을 드린 점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번 관함식을 통해 그간의 갈등을 딛고 민군이 화합과 상생으로 나가는 전기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군 측은 지역주민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주민의 의견을 행사에 반영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강정마을회(회장 강희봉) 측은 지난 31일 기자회견을 통해 관함식 제주개최 동의에 따른 입장을 전한 바 있으며, 원희룡 지사와도 만나 마을회의 뜻을 전달했다. 강정마을회는 관함식 제주개최를 찬성하긴 하지만 5가지 부대조건을 달았다. 제주도정은 이를 적극 수용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 강정마을회는 대통령 사과를 전제로 한 관함식 개최를 동의했으나, 반대주민회 측은 주민투표 재실시가 적법하지 않다며 강정마을회 측을 상대로 무효소송을 제기했다. 사진 위는 강정마을회와 원희룡 지사의 면담 현장, 아래는 반대주민회의 관함식 제주개최 반대 기자회견. ©Newsjeju
▲ 강정마을회는 대통령 사과를 전제로 한 관함식 개최를 동의했으나, 반대주민회 측은 주민투표 재실시가 적법하지 않다며 강정마을회 측을 상대로 무효소송을 제기했다. 사진 위는 강정마을회와 원희룡 지사의 면담 현장, 아래는 반대주민회의 관함식 제주개최 반대 기자회견. ©Newsjeju

허나 제주해군기지 건설과정 초기부터 모든 걸 겪어왔던 강동균 전 강정마을회장을 비롯한 해군기지 반대주민회 측은 관함식 제주개최를 여전히 반대하고 나섰다.

반대주민회 측은 8월 1일 성명서를 내고 해군의 태도를 비판했다. 반대주민회는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지만 해군은 변하지 않은 것 같다. 안하무인 그 자체"라며 "이미 상생과 화합은 물 건너갔다"고 질타했다.

이어 이들은 "해군기기 건설과정에서 가장 상처입었던 사람들은 온 몸으로 저항했던 자신들(반대주민회)"이라며 강정마을회 측의 주민투표가 비민주적인 방식으로 결정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반대주민회는 "이 과정 어디에 '상생과 화합'이 있느냐"며 "제주도의회 역시 순진한 강정마을 사람들을 선동해 재결정 과정을 밟게 했다. 이건 민주주의를 가장한 독재이자 기만이고 폭력"이라고 비난의 수위를 높였다.

반대주민회는 "해군의 기만적이며 독단적인 행태를 강력히 규탄한다"며 "관함식 개최에 모든 방법을 마다않고 부당성을 알려 나가면서 저항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강정마을회는 앞선 기자회견을 통해 "해군기지의 반대와 찬성을 지속하는 건 개개인의 자유일 것이나 강정마을회장의 이름으로 나가는 내용만 강정마을회의 공식 입장"임을 강조한 바 있다.

이들 반대주민회 측과는 다른 입장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로서 강정마을은 또 다시 찬성과 반대의 두 부류로 나뉘게 되는 과정을 겪고 있다.

이미 반대주민회 측이 강정마을회 측을 상대로 주민투표 무효소송을 제기한 상황이어서 그간의 상처 치유와 갈등 화합은 오랜 기간을 소요로 하는 숙제가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