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개소 중 56.8%가 1인 기업... 매출 5억 이상 업체 17.9%뿐, 수출기업은 단 4개소
장애인 기업 확인서 발급받은 곳도 53.2%에 불과... 절반이 '무늬만 장애인 기업'
미인증 업체 93.2%에 달하고 정부정책자금 활용이 12.6% 수준에 머물러 기업 경쟁력 사실상 바닥

제주도 내 장애인 기업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 사실상 경쟁력이 거의 바닥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기업 중 56.8%가 1인 기업이었으며, 5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기업은 17.9%에 불과했고, 수출기업은 단 4개소 뿐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기업 경쟁력 재고를 확보하기 위한 여러 수단 중 하나인 ISO 등의 인증을 갖고 있는 기업은 13개소 뿐이었다. 장애인 기업이라지만 '장애인 기업 확인서'를 발급받은 곳도 53.2%에 불과해 사실상 절반 가량이 '무늬만' 장애인 기업인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특별자치도. ©Newsjeju
▲제주특별자치도. ©Newsjeju

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 5월부터 8월까지 도내 장애인 기업 실태조사를 벌이고 그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조사대상 장애인 기업은 제주도 내 표본업체 중 조사를 거부한 14곳을 제외한 190개소다. 실태조사는 현장을 직접 방문해 이뤄졌다.

조사결과, 190개소 중 개인사업자가 140개소(73.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업종은 도·소매업이 60개소(31.6%)로 가장 많았고, 건설업은 35개소(18.4%), 제조업 32개소(16.8%) 순으로 나타났다.

190개소의 장애인 기업 가운데 ISO(국제표준화기구) 등의 인증을 획득한 기업이 13개소에 불과했다. 무려 93.2%에 달하는 177개의 장애인 기업은 별다른 인증을 확보하지 않고 운영되고 있었다.

중복 인증을 포함해 ISO를 획득한 기업이 7개소, 벤처기업 5개소, 이노비즈 4개소 뿐이다. 지식재산권은 28개소(이 역시 복수응답)로 상표가 17건, 특허가 16건, 디자인 7건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인원은 190개 업체 총 608명이 근로하고 있었으며, 이 가운데 장애인 근로자는 237명(38.9%)로 나타났다. 특징적인 건 1인 기업이 108개소로 56.8%나 차지하고 있는 점이다.

기업의 대표자가 남자인 곳이 154개소(81.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여성은 18.9%인 36개소에 불과했다. 대표자의 장애등급은 경증이 102개소(53.7%), 중증이 88개소(46.3%)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장애인 기업 확인서'를 발급받은 곳이 101개소(53.2%) 뿐이었으며, 절반 가량인 89개소(46.8%)가 발급받지 않고 장애인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재무현황을 살펴보면 대부분 영세한 기업이 많았다.
지난해 매출액을 기준으로 5000만 원 미만이 70개소(36.8%)였으며, 5000만 원에서 1억 원 미만이 31개소(16.3%)였다. 5억 원 이상은 34개소(17.9%)다.

이들 장애인 기업들 중 140개소(56.9%)가 자기자본으로 운영경비를 조달하고 있었으며, 68개소(27.6%)가 금융기관 대출에 의지하고 있었다. 

특히, 정부정책 자금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31곳(12.6%) 뿐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장애인 기업들에게 제공되는 이율 우대정책을 활용하지 않는 기업이 162개소(85.3%)에 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장애인 기업 확인서'를 발급받은 장애인 기업이 53.2%뿐이기 때문에 정부정책 자금 활용비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

절반 가량의 장애인 기업이 '확인서'가 없으니 장애인 기업에 대한 지원제도를 모른다고 답변한 업체가 110개소(57.9%)에 달하는 건 당연한 수순이다.

게다가 190개소 장애인 기업 중 수출기업은 4개소(2.1%)에 불과했고, 143개 업체가 앞으로의 경기 전망을 부정적(79개소)으로 보거나 변화가 없을 것(64개소)으로 바라봤다.

이를 보면 제주도 내 장애인 기업의 GRDP(지역내총생산)는 매우 극히 낮다고 보여지며, 기업 경쟁력이 사실상 바닥 수준이어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자치단체의 노력이 절실해 보인다.

이에 대해 허법률 제주자치도 일자리경제통상국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경쟁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책을 강구하겠다"고만 답할 뿐, 구체적인 대안 마련은 아직 요원한 상태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