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회와 상인 간 파라솔 수익 운영 갈등 폭발
공무원 250명 대동한 제주시, 작심 ‘행정대집행’ 나서
올해 협재해수욕장 파라솔 말로, 종전처럼 눈 감아주지 않는다. “마을회 90개만 합법”

▲ 여름 성수기를 맞아 전국 해변에서도 아름다움으로 손꼽히는 '협재해수욕장'이 파라솔 싸움에 휩싸였다. ©Newsjeju
▲ 여름 성수기를 맞아 전국 해변에서도 아름다움으로 손꼽히는 '협재해수욕장'이 파라솔 싸움에 휩싸였다. ©Newsjeju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로 접어들면서 제주도내 해수욕장이 성수기를 맞고 있다. 해변을 찾는 관광객이 늘면서 관련 이권 다툼 갈등도 증폭 중인데 협재해수욕장 내 '파라솔' 분쟁이 정점을 찍었다.

협재마을회와 주변 상인들 간 '파라솔' 싸움으로, 급기에 제주시가 행정대집행까지 나섰다. 단속에 나서면 철수하고, 돌아가면 설치되는 인력만 낭비되는 눈치게임이다. 

2일 오전 제주시는 '행정대집행'을 위해 협재해수욕장을 찾았다. 

이날 행정대집행은 두 가지 목적이다. 하나는 '공유수면 무단점용' 파라솔·평상·천막 등 철거고, 다른 하나는 '유원지 시설물철거'로 도로변에서 튜브 등 용품 판매 행위다. 

동원된 제주시청 공무원만 250명이다. '공유수면' 불법행위는 해양수산국, 안전교통국, 도시건설국 직원이 총동원 됐다. 

'유원지 시설물 철거'는 자치행정국, 복지위생국, 문화관광체육국, 청정환경국에서 나왔다. 한림읍사무소 직원도 30명 현장 지원에 나섰다.  

▲ 제주시 공무원 230명이 '파라솔' 행정대집행 등을 위해 협재해수욕장에 집결했다. 파라솔 압수를 위해 트럭 두 대를 끌고 왔으나 주변 상인들과 마을회 사람들이 모두 사전 사진철거로 일단 빈 손으로 되돌아갔다. ©Newsjeju
▲ 제주시 공무원 230명이 '파라솔' 행정대집행 등을 위해 협재해수욕장에 집결했다. 파라솔 압수를 위해 트럭 두 대를 끌고 왔으나 주변 상인들과 마을회 사람들이 모두 사전 사진철거로 일단 빈 손으로 되돌아갔다. ©Newsjeju

행정대집행 결론을 먼저 언급하면 김빠지게 종료됐다. 제주시가 계고장 발송(7월30일~31일)과 영장발부(8월1일)를 거치는 사이 상인들과 마을회 모두 파라솔을 자진 철거해 버렸기 때문이다. 

오전 10시 제주시 측은 "협재해수욕장 공유수면 점사용 하가를 받지 않고, 천막 및 평상 등을 적치한 행위에 대한 집행을 자진철거로 인해 취소 한다"며 “해수욕장 이용객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 죄송하다”는 공지를 하고 자리를 떠났다. 

제주시에 따르면 협재해수욕장 내 '파라솔' 사용권의 적법한 허가를 거친 곳은 협재리마을회다. 나머지 주변 상인들의 '파라솔' 설치는 불법행위다. 

협재리 마을회는 해수욕장 개장에 맞춰 행정시에 사전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당시 명시된 파라솔 개수는 90개다. 그러나 성수기 수익사업이 되면서 약 두 배 정도 설치를 늘려버렸다. 주변 상인들은 약 100개의 파라솔을 설치해 수익을 올렸다. 

결국 협재해수욕장 내 '파라솔' 설치는 마을과 주변 상인 모두 불법행위를 저지르는 셈이 됐다. 양측은 행정시에 불법적인 파라솔 설치 관련 고발을 잇따라 하고 있는 상황이다. 

행정대집행을 위해 해수욕장을 찾았다가 빈 손으로 행정시가 돌아간 이후도 문제다. 마을회와 주변 상인들 모두는 서로 파라솔을 재설치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눈치게임의 무한반복이다. 

▲ 협재해수욕장에 사전 설치 허가받은 파라솔의 공식 개수는 90개다. 그러나 수익을 위해 우후죽순 파라솔 설치가 늘면서 300개 가량의 파라솔이 설치됐었다. 사진은 '행정대집행'을 위해 행정시가 나서자 한산해진 협재해수욕장 해변 ©Newsjeju
▲ 협재해수욕장에 사전 설치 허가받은 파라솔의 공식 개수는 90개다. 그러나 수익을 위해 우후죽순 파라솔 설치가 늘면서 300개 가량의 파라솔이 설치됐었다. 사진은 '행정대집행'을 위해 행정시가 나서자 한산해진 협재해수욕장 해변 ©Newsjeju

파라솔을 설치하는 주변 상인들은 그들만의 고충이 있다. 이들 역시 협재리 주민들인데, 해변가 파라솔 운영권을 왜 마을회가 독식하고 있느냐는 부분이다. 또 파라솔 사용료 일부분을 마을 발전사업비로 납부하겠다고 하는데도, 이장이 거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파라솔 임대료와 납부도 논란이다. 주변 상인들은 의혹을 제기한다. 올해 7월초까지 파라솔 사용료는 1만5000원이였지만 가격을 5000원 인상, 2만원을 받는다. 

현금 혹은 계좌이체만 허용되고, 현금영수증 조차 없어 파라솔 수익비 투명성이 담보되지 않아 개인의 사욕으로 채워질 수 있다는 내용이다. 

행정시 측은 "파라솔 경우는 사업계획서에 명시된 서류대로 조정을 할 수 있으나 수익비까지는 개입할 수 없다"고 말했다. 

협재리마을 이장은 상인들의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마을이장은 "수익비는 해수욕장 관리와 파라솔과 화장실 관리를 담당하는 인건비로 쓰인다"며 "나머지는 마을 공공자금으로 나간다"고 해명했다. 

이어 "파라솔 가격 인상은 협재리 운영위원회 회의를 거친 사안으로, 마을 이미지 쇄신 차원"이라며 "계좌이체는 마을회통장으로 들어가 문제가 없다"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불법 파라솔 주변 상인들이 오히려 호객행위로 협재해수욕장의 이미지를 흐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변 상인들은 "관광객들이 해변에 버리고 간 쓰레기를 우리가 매일 수거하는 등 해변 이미지 제고에 노력한다"고 강조했다. 

▲ 당초 기본 1만5000원이던 기본 파라솔 가격이 2만원으로 변경됐다.  마을회 측은 "파라솔을 좋은 것으로 교체했고, 그 정도 가격을 받을만 하니까 받는 것으로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주변 상인들은 "개인 돈으로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한다. ©Newsjeju
▲ 당초 기본 1만5000원이던 기본 파라솔 가격이 2만원으로 변경됐다. 마을회 측은 "파라솔을 좋은 것으로 교체했고, 그 정도 가격을 받을만 하니까 받는 것으로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주변 상인들은 "개인 돈으로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한다. ©Newsjeju

우후죽순 해변을 뒤덮은 파라솔로 관광객들은 불만을 토로한다. 

행정시 측은 "'천혜의 섬 제주해변가에 놀러왔는데 모래는 안 보이고 파라솔만 보인다'는 민원 전화가 실제로 접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2일 행정대집행 종료 후 한산해진 해변가를 보며 반문에 나서는 관광객도 있다.

현장에서 만난 서모(28. 여. 경남)씨 일행은 "협재해수욕장이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고 해서 놀러왔는데 너무 한적해서 놀랐다"고 말했다.

서씨는 이어 "파라솔이 부족해보여 자리다툼이 치열할 것 같다"면서도 "오히려 비양도와 바다 풍경을 보기에는 적당한 것 같기도 하다"고 장단점을 언급했다.

▲ 파라솔 전쟁 행정대집행을 위해 동원된 트럭. 제주시는 고심을 거듭한 끝에 '원칙'을 내세우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Newsjeju
▲ 파라솔 전쟁 행정대집행을 위해 동원된 트럭. 제주시는 고심을 거듭한 끝에 '원칙'을 내세우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Newsjeju

협재해수욕장 파라솔 갈등으로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쪽은 제주시청이다. 계속되는 고발전과 제보, 인력 낭비 등에 시달린다. 시청은 결국 '형평성'을 내걸기로 했다. 

주변 상인들의 파라솔 설치를 불법으로 규정했으니, 마을회에서 협재해수욕장에 설치·운영하는 파라솔 개수를 사업서에 명시된 90개로만 허용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전까지는 파라솔 설치 초과 부분은 마을사업 일환인 만큼 정도껏 눈감아 왔었다. 

제주시 관계자는 “오늘(2일) 중 협재리마을회에 '파라솔을 90개 이상 운영하지 말라'는 내용의 공문서를 발송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결국 올해 협재해수욕장 내 파라솔 눈치게임 말로는 해변 내 90개만 허용이라는 문서상 원칙으로 종결됐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