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흔히 “육감으로 알았다”는 표현을 많이 쓴다.

육감이란 5감, 즉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 다섯 가지 감각을 넘어서는 제 6의 감각(the sixth sense)을 말한다. 한마디로 보통 수준을 넘어서는 뛰어난 정신능력이라 할 수 있다.

육감이 발달한 사람은 보통 사람으로서는 무심코 그냥 지나칠 일을 예민하게 감지하곤 한다. 이는 현대 심리학에서 ‘초감각적 지식’이라고 한다.

그러나 매사를 육감적으로 판단하려면 오류를 감수해야 한다.

그 만큼 인간의 육감은 틀릴 때가 많다.

이렇게 빗나가는 인간의 육감에 비하여 동물들의 육감이 수 백 배나 발달되어 있다는 것이 통설이다.

이를 입증하는 사례는 많다.

개미는 홍수가 나기 전 떼를 지어 이동한다. 쥐들은 침몰할 운명의 배에서 육지로 탈출한다. 메기는 지진이 일어나기 전 물 위로 튀어 오르며 고양이도 지진을 사전에 감지하는 능력이 있다고 한다.

어떻게 이 동물들에게 이러한 능력이 있는지 과학적 규명은 쉽지 않다.

진돗개가 수백 km 떨어진 이전에 살던 집을 찾아오는 것도 육감에 속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지진과 해일의 대재앙이 남아시아를 휩쓸고 지나간 뒤 사람들은 뒤늦게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인도양 주변 국가들에 해일조기경보시스템이 갖춰져 있었더라면 평온히 해변에 머물다가 산더미 같은 파도에 휩쓸리진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유엔기구들이 내년 말을 목표로 시스템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인도 정부는 당장 필요한 장비들을 구입키로 하였다고 한다.

동물들에게는 조기경보시스템이 없는 대신 뛰어난 육감이 정말 존재하는 것 같다.

2만 명 이상이 희생된 스리랑카의 해일참사에서 최대 야생동물 보호구역인 얄라 국립공원에선 동물의 사체가 한 구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 공원에 서식하는 코끼리, 악어, 멧돼지, 물소, 원숭이 표범 등이 해일을 미리 감지하고 고지대로 미리 대피한 것으로 추측된다.

공원관계자는 “토끼 한 마리도 죽지 않았다. 동물들은 제6감을 갖고 있다.”라고 설명했다고 한다.

관광객들이 시신만 널려 있는 야생동물 공원에서 인간의 나약함과 문명의 허망함을 느낀다면 비약일까?
(자료인용 : 경향신문)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