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jeju
▲ ©Newsjeju

 

해양수산과 성 미 정

제주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청정바다의 이미지가 강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 제주 바다는 해양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제주의 연간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2만t 규모로 추정된다.

해양쓰레기는 하천변 등 육상에서 기인한 생활쓰레기와 폐어구 등 어업활동으로 발생한 쓰레기들이 지리적 여건•자연적요건(조류, 북서계절풍)에 의해 국적불문 다양한 경로로 유입되고 있다.

특히, 제주 해양쓰레기는 하천에서 발생하여 우기나 태풍,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바다로 유입되는 양이 상당하다.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양쓰레기 수거 전문 인력인 ‘바다환경지킴이’를 고용하여 읍·면·동에 배치 운영하고 수거한 해양쓰레기의 처리를 위해 상시모니터링, 수거 후 중간집하, 재활용 선별 등 순차적인 처리 시스템의 구축·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상당한 인력과 예산을 투입해 지난해 1만2000여t에 달하는 해양쓰레기를 수거하였지만 해양쓰레기의 발생량은 매년 증가하고, 처리 시 염분이 포함된 해양쓰레기의 특수성으로 인한 높은 처리비용이 요구되어 매년 늘어나는 예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양쓰레기를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앞으로는 사후처리에 집중된 정책에서 나아가 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해양오염원을 차단·관리 할 수 있는 노력을 해야 할 때이다.

고질적인 해양쓰레기의 문제는 지자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와 정부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해양쓰레기 원천차단에 주력해야 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하천변 쓰레기 사전수거 등 유입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도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

우리 시에서도 해양쓰레기 수거·처리에 관련된 사업과 더불어 해양오염원 차단•관리 할 수 있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발굴•시행하여 더욱 더 효율적으로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 모두가 해양쓰레기의 집중 관리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관심을 갖는다면 도민들의 삶의 터전이자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제주 청정바다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