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자치도, 사전 대응 메뉴얼 마련하고 비상상황 시 대처방안 구축 중

▲ 제주특별자치도는 중국 양쯔강 범람 우려로 인한 저염분수와 원전사고 등의 문제에 대비책을 마련코자 31일 비상대책회의를 열어 이를 논의했다. ©Newsjeju
▲ 제주특별자치도는 중국 양쯔강 범람 우려로 인한 저염분수와 원전사고 등의 문제에 대비책을 마련코자 31일 비상대책회의를 열어 이를 논의했다. ©Newsjeju

올해 중국 양쯔강 유역의 대홍수로 인해 제주해역 생태계가 파괴될 위험이 날로 커지고 있다.

많은 양의 강물이 바다로 흘러 넘치게 되면, 바닷속 염분 농도가 떨어져 해양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렇게 염도가 낮은 해수를 '저염분수'라고 하며, 저염분수가 제주해역에 닿게 되면 해삼과 소라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종들의 폐사를 불러올 수 있다.

최근 중국 양쯔강 유역에서 바다로 유출되는 수량이 평년보다 무려 44%나 증가했는데, 이는 중국발 저염분수가 제주 인근 해안으로 유입돼 큰 피해가 발생했던 지난 2016년 때보다 높은 수준이어서 매우 우려스런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는 자체 대응 메뉴얼을 마련하는 등 비상상황 시에 대처할 방안들을 마련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제주도정은 이날 오전 최승현 행정부지사 주제로 비상대책회의를 열어 기존 모니터링 체계에 더해 해양수산부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연계하는 전담 대응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현재 제주도정은 기상청의 자문을 통해 중국 현지의 기상상황을 계속 예의주시하고 있다. 또한 국립수산과학원이나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등과 협업을 통해 동중국해에서의 저염분수 이동상황을 예찰하고, 수협이나 어촌계에 이를 통보해 사전대응을 위한 경보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 상황에서 저염분수에 수온까지 높아지게 되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지게 된다. 

이에 제주도정은 수온과 염분 농도에 따라 1~4단계까지의 단계별 행동요령을 재정비하고, 유사시엔 금어기를 해제하거나 수산생물을 안전한 곳으로 옮기는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저염분수 문제 외에도 중국발 해양쓰레기 유입과 양쯔강 하류의 원전사고 발생 우려 등에 대한 대책도 논의했다.

해양쓰레기 문제는 위성을 활용해 광대역으로 모니터링 하기로 했으며, 이를 통해 제주연안에 2마일 이내로 쓰레기가 접근하면 어항관리선과 바다지킴이 등을 동원해 신속하게 수거할 예정이다.

특히 양쯔강 하류 원전 침수 등의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시엔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리고 정부 부처와 협조하면서 위기경보 수준에 따라 대응할 방침이다.

원희룡 지사는 "최악의 경우 방사성 물질 유입이라는 심각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 문제이니만큼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저염분수에 대해서도 지난 2016년 사례를 비춰보고 도민들에게 상황을 신속히 전파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