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정권 견제·심판론 확인 “4대강·민생파탄 막을것”
ㆍ지방권력 운용 차별화 당내갈등·야권재편 숙제

6·2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완승을 거뒀다. 지방권력을 되찾아왔고, 7년간 전국 단위 선거 패배 악순환의 고리를 끊었다. 이에 당 체질 개선과 내실있는 지방정부 운영 등을 통해 ‘준비된 여당’으로의 탈바꿈을 모색하고 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지방선거 다음날인 3일 민주당의 첫 일성은 강력한 대여 투쟁이었다. 정세균 대표는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이번 선거는 무도한 정권에 대한 국민의 냉엄한 심판”이라며 “앞으로 강력한 원내 투쟁, 대여 투쟁을 통해 수권 정당으로서 위상을 정립하겠다”고 밝혔다. 손학규 공동선대위원장도 “싸움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4대강 죽이기와 민생 파탄을 막고 이명박 정부의 역행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권자들이 ‘견제론과 심판론’에 손을 들어준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8년 만에 일부 되찾아온 지방권력을 한나라당과 확연하게 다르게 운영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왔다. 정동영 공동선대위원장은 “민심이 이 정권을 떠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우리가 대안·수권세력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를 위해 단체장, 시·도의원 당선자 워크숍을 진행하기로 했다. 그간 지방정부와 의회가 비판받아온 부패, 비효율성, 일방통행, 결탁, 토건 집중과 다른 방향으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제 서울시장과 경기지사는 한나라당에 내줬지만 산하 기초단체장은 숫자로 압도하고, 지방의회에서도 여당이 됐다. 그런 만큼 새로운 대안 제시와 실질적 견제, 감시가 가능해진 것이다.

풀어야 할 숙제도 여전하다. 당 체질 개선이 첫번째다. 민주당은 출범 이후 소계파 간 알력에 시달렸고, 지난해 정동영 선대위원장의 무소속 출마 이후 주류·비주류 간 갈등으로 번졌다. 이번 지방선거 기간에도 같은 양상이 되풀이됐다. 주류 측은 선거를 주도하면서 비주류를 사실상 배제했다. 비주류는 ‘소극적 선거’로 대응했다.

선거 승리로 정세균 대표 등 주류 입지는 더 탄탄해졌고 비주류 입지는 축소됐다. 당장 갈등은 잠복할 터이지만, 8월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앞두고 분출할 가능성은 높다.

한 다선 의원은 “주요 주자들이 도토리 키재기식 다툼을 할 게 아니라 당과 지방정부에 골고루 포진해 견제하고 경쟁하면서 유권자에게 상품으로 내놓을 수 있는 ‘인물’이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런 점에서 대거 지방정부의 수장이 된 ‘386’들이 무능한 집단이라는 과거 프레임을 벗고 ‘40대 주자’들로 거듭날지도 주목된다.

야권 재편도 목표선상에 있다. 이번 선거 승리로, 제1야당으로서 위상을 세웠지만 같은 뿌리를 가진 국민참여당은 분가해 있다. 김두관 경남지사 당선자, 문재인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 친노세력 일부도 당 바깥에 머물고 있다. 이번 선거의 주요 승인이 야권연대였다는 점에서 야권 재편 또는 통합에 대한 압력은 가중되고 있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여전히 독점적인 여권에 대응하려면 야권 재편이 필요하다”며 “유권자가 민주당을 찍어준 것은 통합하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