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민속문화의 특수성 인식등 지역민속 연구방향 등 제시

지난 11일 남서울 프라자에서 제주어 및 제주 민속을 재조명하기 위한 국제학술대회가 도와 국립민속박물관 주관으로 열렸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세계 지역어의 실태 및 보존방안을 통해 제주어 보존방안을 논의, 제주 민속문화의 특수성 인식과 보존방안 강구, 지역 민속의 연구방향등이 제시됐다.

제주어는 제주인의 삶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면서 우리나라 중세 국어의 중요한 자료로 자리잡고 있으나 연간 500만명이 드나드는 관광지로 변하면서 그 말을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세미나에 참석한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의 다니엘 륏젤 교수는 "언어 사회의 점진적인 사명에 대해 언어 사회가 언어 접촉 환경에서 시간이 지남에 다라 보다 지배적인 언어로 이동하는 경우 소수어는 사명하게 된다"면서 "학교 교육을 통한 방안보다 집에서 부모들이 2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자녀들에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 운남민족대학 민족문화학원 허리평 교수는 소수민족의 언어을 정확히 기입하기 위한 정자법을 창조, 보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다양한 언어의 지록 및 인소ㅔㅐ시스템 개ㅔ발에 노력해, 2개 민족 언어교육, 라디오, 영화,텔레비변,출펀,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소수민족들의 언어 보존방안에 대해 역설했다.

이상규 국립국어원장은 "지난 세기 정치적 식민주의로 인한 언어 식민주의가 진행되었으며, 현재에도 산업자본으로 인한 언어 소멸도 진행되고 있다"면서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을 중심으로 한 표준어 성랍으로 인해 모든 방언들이 열등한 것 으로 간주되었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제주의 고유한 방언의 경우 서울 표준어와 학교 교육의 강화, 방송매체의 다양화로 인해 절멸의 위기 속에 빠져 있다"면서 "제주 방언의 보존을 위해 언어지도를 제작해야 하며, 관공서와 출향 기업인들의 재정적 협조를 위해 '절멸 위기의 언저 보존 기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강영봉 제주대학교 교수는 "제주어의 음운,문법, 어휘 측면에서의 특징을 살펴보고, '제주어 보존 및 육성조례안'이 도의회를 통한 제정으로 인해 제주어를 보전하고 육성할 토대가 만련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주어 표기법 제정, 학교교육의 활성화, 교재 개발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김귀배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팀장은 "제주어의 보존을 위해서는 유네스코의 등재를 통해 단시일애에 세계적인 가치를 인정받기 보다는 제주어 고유의 가치를 발굴하고 보호 육성하는 여러가지 노력들을 경주하고 이러한 성과들이 축적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세걔적인 무형유산으로 인정박을 수 있다"고 제시했다.

한편 세미나에 참석한 참가자들은 이번 세미나가 소수지역어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보존하는 것이 인류의 자원으로 중요성을 논의하는 시간이 되었다고 자평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