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 해체’로 인해 직원들이 굳어진 얼굴표정을 지으며 한숨만 내쉬고 있다.

19일 오전 박근혜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살릴 수 있었는데 학생들을 살리지 못했고, 초동대응 미숙으로 많은 혼란이 있었고 불법 과적 등으로 이미 안전에 많은 문제가 예견되었는데도 바로 잡지 못한 것에 안타까워하고 분노하신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박 대통령은 “이번 사고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최종 책임은 대통령인 저에게 있다. 그 고귀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대한민국이 다시 태어나는 계기로 반드시 만들겠고 이번 세월호 사고에서 해경은 본연의 임무를 다하지 못했다”며 강도 높게 질책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사고 직후에 즉각적이고, 적극적으로 인명 구조 활동을 펼쳤다면 희생을 크게 줄일 수도 있었을 것이기에 해경의 구조업무가 사실상 실패한 것"이라며 "그 원인은 해경이 출범한 이래, 구조·구난 업무는 사실상 등한시 하고, 수사와 외형적인 성장에 집중해온 구조적인 문제가 지속되어왔기 때문이다”며 꼬집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해경의 몸집은 계속 커졌지만 해양안전에 대한 인력과 예산은 제대로 확보하지 않았고, 인명구조 훈련도 매우 부족했다."며 "저는 이런 구조적인 문제를 그냥 놔두고는 앞으로도 또 다른 대형 사고를 막을 수 없다고 판단해 고심 끝에 해경을 해체하기로 결론을 내렸다”고 발표했다.

이날 발표문은 국민모두에게 충격 그 자체로 다가왔다. 지금까지 각종 재난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단순히 조직개편으로 끝내왔던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세월호 침몰사고’ 여파로 인해 ‘기관해체’라는 결정이 나왔던 것이 매우 이례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실시간으로 담화문을 지켜보던 해양경찰 직원들은 실망감을 넘은 허탈감에 일손을 놓고 있는 형국이다.

이에 이름을 밝히길 거부한 해경 관계자는 “앞으로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르겠다.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느냐. 국가안전처로 넘어간다고 해도 고유 사법권을 가지고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차이가 매우 큰데…”라며 더 이상의 말을 잇지 못했다.

또 다른 해경간부는 “명예퇴직을 신청해야 할 것 같다. ‘경찰’이라는 명예로 지금껏 살아왔는데…”라며 해경이라는 이름과 공직생활 마감을 결정하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해양경찰은 올해 창설 된지 61주년이 됐다. 그동안 거친 파도와 차가운 바닷바람을 맞아가며 거침없이 싸워왔다. 특히 대한민국 해상 치안활동과 해양환경보호를 위해 ‘파수꾼’역할을 수행해왔다.

대표적인 사례가 한반도의 황금어장을 위협하는 외국 불법조업 어선 단속과 ‘독도’를 자신의 땅이라며 외치며 망언을 일삼는 ‘일본’의 도발 억제, 그리고 어선 및 화물선 침몰사고로 인한 선원 구조 활동 등을 꼽을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