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의 ‘협치’와 남경필의 ‘연정’...잠재적 대권 잠룡들의 요즘 뜨는 정치 스타일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의 ‘협치’와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연정’이 중앙 언론에서 연일 집중 조명되고 있어 ‘화제’다.

▲ 좌로부터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남경필 경기도지사
원희룡 지사와 남경필 지사는 ‘여당 내 쇄신파’, 즉 남·원·정(남경필, 원희룡, 정병국)을 중심으로 복당을 통해 정치권에 다시 나선 정태근 전 의원과 최근 무죄판결로 부활을 꿈꾸는 정두원 의원 등이 주축을 이룬 세력 중 대표 인물로, 이들은 이명박 정권 당시 실세의 중심에서 당내 경쟁 선두 그룹 중 대표적인 인사들이다.

그런 이들이 박근혜 정권 탄생 이후 다소 중심 권력에서 밀려났지만 6.4지방선거를 통해 지방정가의 수장으로 화려하게(?)정치권에 입성했다.

현재 원희룡 지사와 남경필 지사는 자신의 혁신을 담은 쇄신정책을 지방정가에 도입해 획기적인 정치흐름에 나서고 있다.

먼저 남경필 지사는 ‘야당과의 권력 분점’이란 형태로 ‘연정 모델’을 선보였다.
최근 진통 끝에 새정치연합 소속인 이기우 전 의원을 사회통합부지사로 지명하며 ‘연정 모델’의 시동을 걸었다.
단지 이름만 그럴싸한 지위가 아니라 경기도 예산의 무려 30% 안팎을 차지하는 복지·환경·여성가족 분야를 도지사의 실질적 권한 넘겨받은, 실질적으로 책임지는 자리다.

특히, 남 지사의 권력 분산을 통한 ‘연정’은 오랜 그의 정치 철학으로, 순수 의원내각제에서 연정을 하고 있는 독일식 모델을 선호하고 있다.
남 지사는 언론 인터뷰에서 “지난 대선 결과는 52%대 48%이었지만 권력은 52%가 대부분 차지했다. 이런 정치구조에서 반칙이 나올 수밖에 없다”며 “국민의 지지가 52대 48로 나오면 권력도 최소한 6대 4로 나눠야 하는 것이 합리적 판단”이라며 ‘연정’이야말로 정치의 최결정판이라 자부하고 있다.

그러나 획기적인 정치적 발상인 만큼 위험 부담도 큰 것은 사실이다.
남경필식의 ‘연정 모델’이 성공한다면 새로운 정치 리더의 대표로 위상을 세우겠지만, 실행없이 표면적 연정으로 그친다면 그에 따른 정치적 부담감은 배로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어 새로운 정치인 ‘협치모델’로 제주정치에 새로운 정책시도를 하는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있다.

원희룡 지사는 원희룡식 ‘협치 모델’을 민선6기 제주도정의 중추적 방향으로 기틀을 잡고 추진해 나가고 있다.

‘원희룡식 협치모델’이란 도지사 고유의 권한을 도민에게 나눠주는 운영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는 획기적 정치 모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즉, 그동안 관행적으로 이어왔던 관(官) 주도의 일방적 구도를 180도로 바꿔, 민간의 경험과 아이디어를 도정에 활용하는 방식이라는 것.

그러나 이러한 획기적 정책이 제주도의회의 반대로 출범조차 못하고 있다.
제주도의회는 민선6기 원희룡호의 협치위원회가 결국 지사의 비선라인, 즉 사조직이 될 가능성 등을 제기하면서 반대하고 있다.

특히, 도의회는 ‘협치위원회가 대선을 위한 원희룡 지사의 개인 조직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협치를 빙자한 통치의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국내 유력 언론들은 현재 협치위원회 구성을 놓고 원 도정과 제주도의회 간 첨예한 갈등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통큰 중앙 정치’의 리더쉽을 발휘해 ‘완성된 협치 모델’을 성공시킨다면 새로운 대권주자로서의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원희룡의 ‘협치’와 남경필의 ‘연정’에 새로운 기대감에 환영하는 분위기가 있는 반면에 새로운 정치시스템에 대한 원초적 거부감 또한 만만치 않은 상태다.

그러나 원 지사의 ‘협치’나 남 지사의 ‘연정’은 그간 국내 정치가 민생과 경제가 아닌 당리당략(黨利黨略)의 ‘그들만의 리그’에만 내세우다보니 국민들로부터 철저하게 외면당하는 형국에서 새로운 정치실험으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이들의 새로운 정치시도가 인기를 위한 단순 콘텐츠 일환 내 눈속임이 아닌 개혁과 쇄신의 현실로 이어지길, 그리고 이러한 실현에 대한 기대가 국민들이 진정으로 바라고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뇌리에 인식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