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장 용지 태부족…원도심 활성화 ‘걸림돌’
토지 이용 제고 차원 지하 주차장 추진 필요

제주시 원도심 활성화의 가장 큰 장애요인은 주차난이다.

현재 제주시 1일 평균 자동차 증가대수는 평균 60대인 반면에 주차장은 평균 20면에 그치고 있다.

특히, 원도심은 수 십 년 전 도시계획으로 틀이 짜여진 도시구조에서 해법을 찾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공용 주차장을 비롯한 주차장 용지가 부족한 게 현실이다. 

그래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게 지하 주차장이다.

제주시는 2006년 만성적인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학교 운동장을 지하 주차장으로 조성하려는 기본계획을 마련한 바 있다.

이에 앞서 지난 1992년에는 중앙지하상가, 동문로터리 주변 교통혼잡을 덜기 위해 관덕정 입구 1·2주차장과 관덕로 지하 주차장, 제주북초등학교 운동장 지하 주차장, 동문로타리 지하 주차장 시설 등이 검토될 수 있다는 제주시 주차장 정비 용역 결과도 있다.

▲ 시청 및 광양로터리 인근 대학로 상권 및 주택가는 만성적인 주차난 때문에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이면 도로에는 양옆으로 빼곡히 들어선 불법 주·정차 차량 때문에 소방차 진입도 가로막고 있는데다, 주차 시비도 잦다. ⓒ뉴스제주
특히, 제주시는 대학로 주변 상권의 주차난 해결을 위해 지난 1992년 11월 신산공원-광양로터리-종합운동장에 이르는 동·서광로 구간도로 지하 너비 25-30m, 길이 2천86m, 면적 10만5천5백10㎡를 도시계획상 지하도로 시설을 결정하고, 사업자를 공모한 바 있다.

개발방식은 수익형 민자사업(BTO, Build-Transfer-Operate)방식이었다.

BTO 방식은 민자유치 사업의 진행방법의 하나로 소유권은 국가 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한 채 일정기간 사업시행자가 시설 관리 운영권을 갖게 하는 사업 방식이다.

그러나 1998년 제79회 전국체전 제주 첫 개최에 따른 사업 시행시기 조정에다, IMF 구제금융에 따른 외환위기, 건설업계 자금난 등과 맞물려 2002년 개발사업이 물거품이 됐다.

원도심 주차난 해소로 인한 편리한 접근성이 해결되면, 공동화 및 상권 쇠락 현상은 진정될 것이다.
그러나 원도심 활성화 사업에 지자체가 100% 재정을 투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보도 위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인해 보행자들은 차도를 걷기 일쑤. 안전사고 위험도 높다. 이 같은 주차난은 원도심 활성화 차원에서 접근성 개선을 통한 유동성 확보에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뉴스제주
도시재생활성화법이 있으나 재원마련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따라서 수익성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지하 주차장 건설 등 민자 개발도 해법일 수 있다.

특히, 원도심의 토지 이용도를 높이고 교통 및 주차난 해소 등 지하공간의 적극적인 활용대책이 필요하다.

보행자 중심의 도로와 주차난 해소를 위한 지하 주차장 조성 등 하드웨어적 정책이 뒷받침된다면, 방문객들이 돌아다닐 수 있는 보행자 도로를 비롯한 공간 확대가 유동인구 증가로 이어짐으로써 상권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상권이 살아나야 원도심이 산다.

원도심에 대한 문화예술 거점 조성사업이 중점 추진되고, 살거리,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 놀거리가 풍부하더라도, 접근성이 어렵다면, 그 효과는 반감되고 만다. 유동인구의 원도심 유입은 편리한 접근성에 달려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