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즈 제주관광, 왜 논란인가] ②
도민 혈세 수백억 쏟아 붓지만 크루즈 수익은 대기업행...

한 척에 2000명이나 되는 관광객들을 싣고 제주항으로 입도하는 크루즈 관광객들이 한 해 지날수록 크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 2013년에 38만 명, 지난해엔 59만 명으로 크게 늘었다. 올해도 65만 명 이상의 관광객들이 크루즈 선박을 타고 제주를 찾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주도는 이러한 관광객 수용을 위해 400억 원이 넘는 도민 혈세를 투입해 제주항국제여객터미널을 짓고 있다. 그런데 이를 통해 들어 온 관광객들이 제주에 와서 면세점 쇼핑만 하고 다시 배타고 돌아간다면? 그동안 숱하게 제기돼 온 이 문제점이 올해 들어선 고쳐졌을까? <뉴스제주>는 크루즈 선박에서 내려 대략 6시간 동안 제주도를 돌아다닌 관광객들의 동선을 쫒아가봤다. [편집자 주]

■ 아래는 글을 싣는 순서.

[1] 크루즈 관광객, 이들은 제주 어느 곳을 다닐까
[1-1] 비와서 그랬다고 치자, 맑은 날에는?
[2] 5∼6시간 동안 제주가 벌어들인 돈은? 면세점 2억 vs 지역경제 500만 원?
[3]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는 크루즈 관광패턴
[3-1] 제주도의 크루즈 관광정책, 현재 모습은?
[4] 제주도가 제시한 대안, 1. 기항 8시간 미만 '입항제한'... 실효성은?
[4-1] 대안, 2. 도내 지역여행사 참여 시 선석 입항 우선권 부여... 하지만 갈 길이 멀어

▲ 제주신라면세점에서 쇼핑을 마치고 나온 크루즈 중국인 관광객들이 자신들이 타고 온 관광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뉴스제주

# 5∼6시간 동안 제주가 벌어들인 돈은? 면세점 2억 vs 지역경제 500만 원?

이날 배에서 내린 관광객들이 제주를 맛 본 시간은 대략 5∼6시간 정도. 이 시간 동안 관광객들은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과 제주시 용두암만을 둘러봤다. 쇼핑시간과 이동시간을 제하면 3시간 남짓이다.

이들이 제주에 머무는 동안 면세점 외 지역에서 소비한 금액은 기껏해야 1인당 5000원 수준이다. 박물관 입장료 1100원에 용두암 언저리에서 사먹는 간식거리 정도가 전부다. 간혹 기념품을 사가는 이들이 있긴 하나 소수에 불과하다.

면세점 매출을 제주지역 경제 수익에 포함시킬 수 없는 이유는, 신라나 롯데면세점에서 벌어들인 수익이 고스란히 본사로 넘어가기 때문이다.

지난해 제주를 찾은 크루즈 관광객은 사상 최대치인 59만 명을 기록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거대한 크루즈 선박을 타고 제주로 입도하는 관광객이 해마다 크게 늘고 있어 지난 2013년 10월에 402억 원을 들여 제주항 제7부두에 국제여객터미널을 착공했다. 올해 7월에 완공되면 시범 운행을 거쳐 9월에 정상 가동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서귀포 강정항에도 크루즈 선박이 드나들 수 있도록 534억 원(친수공간 조성 포함)을 투입할 예정이었지만 해군기지 진상규명, 군 관사로 인한 해군과의 갈등과 추경예산 문제로 답보 상태에 놓여있다.

이렇게 제주도는 보다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수백억 원의 도민 혈세를 쏟아 붇고 있지만, 정작 이로 인해 더 이득을 보고 있는 것은 면세쇼핑을 내세운 대기업들뿐이다.

항공편으로 유입되는 해외 관광객들과 달리, 크루즈 관광객들은 한 번에 많은 인원이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면세점 매출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신라면세점이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대소요비로 수십억 원을 지출하면서까지 2곳의 주차장을 확보하고 매장을 확장했다. 롯데면세점도 서귀포에서 제주시로 넘어 온 이유다.

▲ 올해 중에 중문에 위치해 있던 롯데면세점이 제주시 롯데시티호텔로 이전된다. 공항이나 제주항으로부터 신라면세점보다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어 크루즈 면세점 매출 규모는 더욱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뉴스제주

지난해 신라면세점이 4000억, 롯데면세점이 2000억 원대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를 일일 수익량으로 환산해보면 신라면세점(롯데면세점은 제주항과 거리가 너무 멀어 크루즈 관광객들이 방문하기 힘들 것을 가정해서 제외)에선 1일 약 11억 원을 벌어 들였다. 물론 이 금액에는 크루즈 이외 항공편으로 유입되는 관광객들이 소비한 것도 포함돼 있다.

2014년 전체 제주도 관광객 수는 1200만 명을 돌파했다. 이 가운데 327만 명이 외국인 관광객들이며, 이들 중 59만 명(18%)이 크루즈 관광객이다. 이 비율로 따지면 크루즈 관광객들이 면세점에서 하루 소비하는 금액은 약 1억 9800만 원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지난해 크루즈 관광객 59만 명을 하루 평균 방문객으로 산출해보면 1일 1616명이 제주를 방문했다. 이들이 위와 비슷한 코스로 제주도 관광에 나섰다면 단순히 계산(1616명*3000원)했을 때, 제주도가 하루 벌어들인 돈은 대략 485만 원 정도다. 3000원 소비가 너무 야박하다면, 면세점 외 도내 화장품 가게에서 소비했다고 가정해서 1인당 3만 원으로 계산해도 4850만 원에 그친다.

크루즈 관광객을 통해 면세점에서 일일 2억 원을 벌어들이고 있을 때, 제주경제는 500만 원(혹은 50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이렇게 해석하면 제주도의 관광정책에 대해 쓴소리를 뱉어내지 않을 수가 없다. 크루즈 관광객을 더 들이겠다고 도민 혈세 400억 원을 쏟아부었으니 말이다.

만일 크루즈 관광객들을 태운 버스가 중문에 있는 롯데면세점까지 간다고 계산하면 이 차이는 더 커진다. 일일 총 매출규모는 16억 4383만 원으로 계산되며, 이중 크루즈 관광객들이 2억 9589만 원을 소비한 셈이 된다.

실제로 롯데면세점이 올해부터 제주시로 넘어오게 됐으니, 크루즈 관광객들로 인한 면세점 매출 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이 자명하다. 일일 3억 원이 넘는 면세점 매출이 기록되고 있을 동안 크루즈 관광객으로 인해 이득을 볼 제주경제 성장폭은 미미해 보인다.  

신라면세점 측에선 억울할 수도 있다. 매장이야 기존에 있던 것이고 여기에 늘어난 관광객이 찾아오는 것뿐이며 상대적으로 비춰지는 소비패턴 때문에 대기업이 비난을 받아야 하니. 신라면세점도 이 문제를 잘 알고 있다.

제주도정과 제주관광공사 및 제주도관광협회 뿐만이 아니라 도내 관계기관들도 이 문제를 잘 인식하고 있다. 대안을 강구 중이지만, 변화되는 시장 속도에 비해 관련 정책들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