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참여, 도내 중소기업 살리려면 분리발주 보장해줘야

건설은 건축, 토목, 설비, 전기, 소방, 통신 등 다양한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수많은 기업이 참여해 하나의 목표를 완성해 가는 거대한 작업이다.

제주특별자치도와 람정제주개발의 약속대로라면 이번 신화역사공원 1차 공사에도 많게는 수 백여 개 이상의 중·소규모 도내 기업이 참여하게 된다.

▲ 신화역사공원. ⓒ뉴스제주

이전에도 제주도에서 대기업이나 대기업과 컨소시엄을 맺은 협력사가 발주한 건설공사엔 보통 도내 중·소형 기업이 하도급 형식으로 참여해 왔다. 많은 분야에서 참여해야 완성이 이뤄지는 건설 작업의 특성상, 도내기업들이 참여하는 범위가 50%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이를 감안하면 굳이 제주도정이 나서지 않아도 신화역사공원 공사에 도내 기업이 50% 이상 참여했을 것이라는 예상을 쉬이 해볼 수 있다.

그렇기에 공사 발주처(람정제주개발)에서 "50% 이상 공사 참여를 보장하겠다"는 말에는 도내 중소기업들이 대기업 하청업체로서 일을 하게 되는 것이 아닌, 공사에 직접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숨어있다.

그동안 하도급 형식으로 공사에 참여해왔던 도내 중소기업들은 '하청업체'에 불과한 대우를 받았었기에 실제 공사에 나섰어도 정당한 비용 요구를 할 수는 상황이 아니었다.

게다가 중소기업들은 직접 공사 현장에서 일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말 그대로 '하청 일'을 했기 때문에 공사 실적을 제대로 인정받기조차 어려웠다. 제주도정이 도내 중소기업들의 자생력과 경쟁력을 갖춰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하지만 정작 추후 공사 입찰에 도움이 돼야 할 이러한 경력들이 반영되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지난 3월 23일 '신화역사공원 조성사업 도민이익 증대를 위한 개발사업 시행승인조건 관리 T/F 1차 회의'를 개최하고 있는 모습. ⓒ뉴스제주

이러한 현실에서 제주도정이 "도내 기업을 50% 이상 참여토록 하겠다"고 한 약속은 도내 중소기업들로 하여금 '하도급이 아닌 분리발주를 통한 원도급으로 참여할 수 있지 않겠나'하는 기대감을 갖게한 것이 자명하다.

하지만 이번 역시 대기업과 몇 개의 도내 협력사가 주도하는 공사가 됐다. 일의 대부분은 중소기업이 하지만, 수익의 대부분은 대기업이 가져가는 구조가 될 것이 뻔하다는 말이 벌써부터 나돌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져왔던 김태석 제주도의회 의원(새정치민주연합, 환경도시위원회)은 제주 크루즈항만 공사가 진행될 때, 도내기업이 맡을 수 있는 일부 공정에 대해서 분리발주 공사로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데 일임한 바 있다.

김 의원은 "도내 중소기업의 공사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선 분리발주하는 방법 밖에 없다"며 "이를 통해 당시 도내 중소 업체들이 육지 대형업체와의 경쟁을 피하고 원도급 형식으로 공사비용도 보장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런 경우처럼 도내 많은 중·소형 기업들은 신화역사공원 R지구 공사에서 도내기업이 50% 이상 참여한다는 것에 그 혜택이 돌아갈 수 있기를 바라며 많은 기대를 걸었다. 이것이 실현되기 위해선 크루즈항만 공사처럼 직접 공사에 참여할 기업에게 100% 공사비용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분리발주로 진행돼야 한다.

허나 이전 관행대로 대기업 혹은 도내 협력사의 하도급을 통해 건설에 참여하게 될 전망이다.

특히 제주도내에서 정부로부터 기술인증을 받아 온 중소기업들의 경우, 이번 신화역사공원 R지구 공사에 참여 가능성을 높이 봤으나 '아니나 다를까' 실망감에 씁쓸함만 커지고 있다.

도내 한 중소기업의 대표는 "정말 제주도가 도내 기업을 위한다면 우리 같은 작은 규모의 회사도 하도급이 아닌 분리발주 형태의 원도급 방식을 통해 공정에 참여 하게 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기업의 대표는 "그동안 제주도정이 발표해왔던 신화역사공원의 건설 참여가 우리 같은 작은 기업들에게도 한동안 희망을 줬었다"며 "하지만 결론적으로 몇몇의 도내 기업에게만 그 혜택이 돌아간다면 이전과 다를 것이 무언가. 생색내기일 뿐"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제주도가 그동안 도민들에게 홍보해 온 '도내기업 50% 참여 보장'이라는 황금빛 무지개가 결국 대기업과 도내 일부 기업에게만 돌아간다면, 실제 하도급 형태로 현장공사에 참여하게 될 수많은 도내 중소기업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반문해봐야 한다.

이러한 도내 중소기업의 우려를 반영해 도내 중소기업이 맡게 될 공사에 정당한 비용의 공사비가 지급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제주도정이 확인해 줘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설계예가를 통한 각 공정별 예상비용 및 전체 예산 중 해당 공정이 차지하는 예산비중을 산출해 내야 한다.

또한 공사에 참여하는 도내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하는 노력과 더불어 분리발주가 가능한 공사에 대해선 도내 기업들에게도 기회를 열어줘야 한다. 도내 기업들은 제주도청 내 T/F팀만 바라보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