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감귤 명품화 공약에 따라 5%인 고품질 감귤 비율을 30%까지 확대하겠다던 정부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노지용 고품질 온주 감귤은 단 1품종도 개발되지 않는 등 감귤 육종 정책에 대한 홀대가 여전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해수위 김우남 위원장은 22일, 농촌진흥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정부의 감귤 품종개발 및 보급정책의 실패를 질타하며 인력과 예산의 집중 투자를 주문했다.

정부는 2013년 8월 박근혜 대통령의 감귤 명품화 공약을 이행하겠다며 2012년 5% 수준인 고품질 감귤(당도 11브릭스 이상, 산도 0.9%이하)을 2017년에는 30%로 확대하는 내용의 ?감귤 명품산업 육성대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이 농진청이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금까지 농진청 및 지자체가 개발한 24개의 품종 중 노지용 온주밀감은 4품종에 불과하고 그 가운데 고품질 감귤의 기준에 부합하는 품종은 단 하나도 없다.

개발된 품종 수나 보급면적에 있어서도 감귤은 사과와 배에 비해 크게 뒤쳐져 있다.
사과는 지금까지 모두 49개의 품종이 개발됐고 2014년 기준으로 22품종이 5,100ha의 면적에 보급되었는데 사과의 국산품종 점유율 17%에 이른다.

배의 국내 개발 품종 수는 41개이고 그 가운데 28품종이 1,235ha에 보급됐으며 국산품종 점유율은 9.5%이다. 반면 감귤의 경우는 5품종이 374ha의 면적에 보급됐는데 국산품종 점유율은 1.8%에 불과하다.

이처럼 감귤의 경우는 품종 개발 및 보급 수준이 낮을 뿐만 아니라 개발의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인력의 대폭적 증원이 시급하다는 것이 김 위원장의 지적이다.

실제 우리나라 감귤의 품종개발 인력은 정부, 지자체, 대학을 합해 8명에 불과하다. 반면 일본은 정부와 지자체를 합쳐 35명, 중국은 정부와 대학의 33명이 감귤 육종을 전담하고 있어 양국 모두 우리나라의 4배가 넘는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어 김우남 위원장은 '감귤 명품산업 육성대책'의 허구성도 비판했다. 정부는 대책 추진을 위해 2013~2017년까지 국비(국가 보조) 2,138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품종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예산은 3개 사업에 90억원에 불과하다.

더욱이 감귤무병묘생산시설 및 신품종보급 시범포설치 사업의 경우 2015년까지 12억 5천만원이 투입될 예정이었지만 실제로는 5억원의 국비만 지원됐다.

골든씨드프로젝트의 경우도 2014년까지 3개의 감귤 신품종을 개발할 계획으로 20억원의 품종개발연구비를 투입했지만 개발 실적은 전무한 상황이다.

김우남 위원장은 "고품질 감귤 품종 개발의 기본 토대를 만들지 않고서는 감귤경쟁력의 강화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며 "정부는 지금이라도 감귤 품종 개발 및 보급 정책을 대폭 수정하고 인력과 예산의 집중적 투자에 나서야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