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수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예정자가 예전에 매입한 아파트에 대한 다운계약서 의혹이 제기되자 "부끄럽다"고 말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하민철)는 31일 오경수 예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열린 자리에서 이러한 의혹이 제기됐다.
▲ 오경수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예정자. ⓒ뉴스제주 |
김경학 의원(더불어민주당, 구좌읍·우도면)은 오경수 예정자를 향해 "과거 이력을 보니 벌금이나 과태료도 일체 없고 각종 기부금도 내면서 깨끗하게 살아 온 것 같다"며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실수한 게 없느냐"고 물었다.
이에 오경수 예정자는 "IT전문가로서 제주도에 백업센터 짓겠다는 약속을 했었는데 지키지 못한 것 등 여러 실패 사례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자 김 의원은 오 예정자의 재산 형성과정에서 의심되는 정황이 있다면서 오 예정자가 서울 서초동 모 아파트를 매입한 경위를 따져 물었다.
김 의원은 "2000년 6월에 1억 8500만 원으로 아파트를 매입했던데 취등록세를 1070여 만 원을 냈더라. 그런데 몇 년 후에 3억 6000만 원의 대출을 받았다. 부동산 담보 비율을 보면 5억 원 정도의 가치를 가지고 있어야 4억 원 정도의 대출이 가능한 것으로 아는데 어떻게 된 일이냐"고 따져 물었다.
오 예정자는 "실제로 산 것은 4억 원 정도에 산 것으로 안다"며 "당시 공인중개사에게 처리를 부탁했는데 금액이 틀렸었다. 따지고 살펴봤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 것 같다. 다 제 불찰이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김 의원은 "매입가는 1억 8500만 원인데 4억 가까이 대출을 받았으니 은행에 아는 사람이 있다거나 다운계약서를 작성해 세금을 탈루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사안"이라며 "중개사가 알아서 했다는 답변 역시 모든 청문회 때마다 나오는 단골메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다른 분들도 이런 지적을 받을 때마다 '자기는 몰랐다'식의 답변을 오 예정자도 하고 있다. 당시에 그게 관행이더라도 보통 실거래가로 60∼70%로 다운하는데, 이 경우는 1/3수준으로 신고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답변한대로 중개사가 알아서 했다고 할 수도 있겠으나 이 문제에 대해선 더 추궁하진 않겠다. 다만, 앞으로 성공적으로 도개발공사를 이끌려면 먼저 자기자신에 대해 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에 오 예정자는 "무지였던 나태였던 다 제 불찰로 인한 것"이라며 "부끄러운 일이다. 추후에 이런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제 자신을 다스리겠다. 죄송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