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장애인 정책 모니터링센터, '2019년 이동권 실태조사' 발표
"저상버스 승하차 불편하고, 안전불감증까지"

▲  ©Newsjeju

제주도내 저상버스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애인들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선책 마련이 요구된다. 

12일 오후 2시 '제주 장애인 정책 모니터링센터(이하 모니터링센터)'는 제주도의회 도민의방에서 <2019년 장애인 이동권 실태조사 결과발표>를 진행했다. 

모니터링센터에 따르면 실태조사는 제주도내 저상버스 제주시내 6개 노선과 서귀포시 9개 노선을 대상으로 올해 8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됐다. 장애인이 직접 저상버스에 탑승해 버스정류장 접근성, 탑승정보, 기사의 편의제공, 기타사항 등을 모니터링 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참고로 저상버스는 기존 계단을 오르내기리 힘든 장애인이나 교통약자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도입됐다. 바닥이 낮고 출입구에 계단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제주도는 2016년 서귀포시에 전기저상버스 상용화로 27대를 도입했다. 제주시는 2018년부터 전기저상버스가 운행되면서 현재 88대에 이르고 있다. 

모니터링은 총 50회차에 대한 결과를 분석했다. 결과는 저상버스 도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제주도내는 일부 노선에 저상버스가 운행 중에 있다. 그러나 버스정보시스템에 '저상버스'라는 표시가 뜨지 않아 버스시간대를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저상버스의 정류장 승·하차 여부도 들쑥날쑥 했다. 장애인 등이 저상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편한 위치에서 내리고 탈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승차 경우는 총 50회 중 38회는 탑승가능한 곳에 정차했고, 12회는 탑승이 정차위치를 무시한 곳에 저상버스가 멈췄다. 

하차 역시 승차와 동일한 횟수의 결과가 나왔다. 12회는 내리기 어려운 곳에 버스가 멈춰섰는데, 원인은 불법주차 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정류장 주변에 있는 화분이나 쓰레기통, 가로수 등도 장애인들의 접근성을 힘들게 만드는 요인으로 돌아왔다. 

장애인이 저상버스에 탑승 후에도 안전불감증에 시달려야 했다. 50회 중 33회만 안전벨트 및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었다. 나머지 17회는 "안전벨트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과 "본인이 직접 휴대해야 한다"는 등 안일한 대처가 이뤄졌다.

모니터링센터 측은 "저상버스 운전원들이 정류장 입구에 버스를 맞춰 정차하는 것을 힘들어 한다"며 "정류장 입구의 폭을 넓혀 편리한 정차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버스정류장에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대기하고 있다는 알림 정보 시스템을 만들어 운전원이 원활히 알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