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의 의원 "제주 물 관리 정책 부실은 전문 인력 부족 때문" 지적

▲ 원희룡 제주도지사와 강성의 제주도의원. ©Newsjeju
▲ 원희룡 제주도지사와 강성의 제주도의원. ©Newsjeju

최근 제주에서도 발생했던 정수장 깔따구 유충 사태는 물 관리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데 기인한 것이라는 지적이 일었다.

강성의 제주도의원(더불어민주당, 화북동)은 23일 진행된 제394회 임시회 제4차 도정질문에 나서 제주의 상하수도 정책이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돼 제주의 지하수 오염 위험이 날로 늘어만 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강성의 의원은 "지난 2017년에 빚어진 가축분뇨 사태와 액비 과다살포 등이 제주 지하수 오염원으로 제기되고 있지만 제 생각엔 개인하수처리시설이 부족한 게 가장 크다고 본다"며 "다른 지역에 비해 제주에선 개인하수처리시설에 따른 하수를 방류가 아니라 지하침투 방식으로 하고 있어서 지하수에 100% 영향을 줄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지적에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하수관리 원인자들이 너무 흩어져 있고, 모든 하수처리를 공공하수로 연결하기엔 무리가 있다. 개인하수처리시설도 정화조를 갖추고 가동하면 되는데 전기료 부담으로 꺼놓는 경우도 많아서 사각지대가 많은 게 현실"이라며 "도민들의 의식 변화와 행정에서의 지도감독이 필요하다"고 문제의 심각성을 인정했다.

강 의원은 "지난해 말 기준 개인하수처리시설이 9823개나 있다. 문제는 하루에 여기서 얼마만큼 방류되고 있는지, 사용허가량은 얼마나 줬는지 등의 데이터가 전혀 집계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며 "소규모 시설이다보니 그냥 개인에게만 맡겨두고만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강 의원은 "양 행정시에서 지도점검은 하고 있지만 점검 기준이 서로 다르고, 이걸 누가 어떻게 총괄하고 보고되고 있는지에 대한 관리가 부실하다"며 "개인하수처리시설에도 전부 관리번호를 부여하고 행정 관리자를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원 지사는 "전반적으로 다 동의하고, 관리번호를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을 준 것에 대해선 감사하다"고 답했다.

이어 강 의원은 "상수도 통계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거나 변경했다는 기록이 하나도 없다. 그렇다고 예산을 전혀 투입하지 않은 것도 아니다.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되지 않고 있는 건 문제"라고 재차 지적을 가했다.

그러면서 강 의원은 "정원이 20명인 지하수연구센터가 만들어졌는데도 지금 11명 뿐이다. 특히 제주에 있는 17개 정수장에 대한 전문인력 정원이 48명인데 현재 18명 뿐"이라며 "물 관련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고 질타했다.

원 지사는 "다 동의한다. 제주 인구에 비해 사업소나 관리해야 할 행정대상이 너무 많다보니 조직과 인원, 전문인력 뒷받침에 대해 이번 사태를 전화위복으로 삼고 대대적으로 보강해야 한다"고 답했다.

강 의원은 "도내 대학교나 개발공사 등과 의논해서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단기적으론 물 관련 교육과정 등을 개설해서 추진해 달라"고 주문했다.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