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대다수 "해양보호 구역 확대 필요하다"
"더 이상의 파괴 막으려면 보호구역 확대가 답 "

제주도민 대다수가 해양보호구역 확대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남방큰돌고래와 천연잘피 서식지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에 대해 10명 중 9명이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이하 연합)은 30일 보도자료를 내고 '해양보호구역 확대에 대한 도민 인식도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해양보호구역 확대 필요성에는 도민 88%가 공감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제주남방큰돌고래와 천연잘피의 주요서식지 보호구역 지정에도 압도적인 공감을 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식도 조사는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5일까지 16일 간 진행됐으며 면접원에 의한 일대일 개별면접조사 113건, 구글 서식을 활용한 온라인조사 508건 등 62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의 주요 내용은 ▲해양보호구역을 아는지 ▲해양보호의 위협이 되는 것은 무엇인지 ▲해양보호구역 확대가 필요한지 ▲제주남방큰돌고래와 천연잘피 군락을 보호하기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에 동의하는지 등이다.
연합은 해양보호구역에 대해 알고 있는지 질문한 결과 '이름만 알고 있고, 의미는 모른다'는 응답이 52%(325명)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전혀 모른다'는 응답도 12%(73명)가 나온 반면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은 36%(223명)였다.
제주도의 해양보호 수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관한 질문에 응답자의 50%(311명)가 보호가 '잘되지 않는다'고 답변한 것으로 드러났다. '보호되는 편'이라고 답변한 응답자는 12%(77명)에 불과했다.
또, 해양보호를 위한 정책적 노력으로 '해양보호구역 확대가 필요하냐'는 질문에 필요하다는 답변이 88%(548명)에 달해 필요하지 않다는 답변(1%, 5명)을 크게 웃돌았다.
이에 연합은 "해양보호구역의 의미를 잘 홍보하고 이에 대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뤄진다면 해양보호구역에 대한 도민 공감대가 빠르게 확산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제주남방큰돌고래 주요서식지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이 필요하냐'는 질문에 동의하는 답변은 89%(552명)로 나타났고, 천연잘피 주요서식지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90%(558명)가 동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합은 "새로운 해양보호구역 후보지 지정 시 이런 여론을 반영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연합은 "해양보호구역의 확대를 위해선 무엇보다 이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절실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그만큼 정부와 제주도정 차원에서 해양보호구역에 대한 홍보와 교육에 소홀해 왔음을 방증하는 결과이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는 해양환경부서가 없어 소수의 공무원이 해양환경에 대한 전반을 감당하고 있어 치밀하고 세부적인 정책생산이나 계획이 불가능한 구조"라며 "제주도는 해양환경 부서를 하루빨리 신설하여 해양보호구역의 확대를 위한 보다 강화된 정책을 펼쳐나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더 이상의 파괴를 막으려면 지금 필요한 일은 인위적인 파괴행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공간을 빠르게 늘려나가는 일"이라며 "이미 전 세계는 바다의 30%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결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제 남은 것은 한국 정부와 지방정부의 의지와 실천, 행동뿐"이라며 "부디 우리의 바다가 건강하게 지속될 수 있도록, 뭇 생명의 터전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더 큰 노력을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