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통합 제주사회개혁'목표운동, 해군기지 찬반과 주민투표 여론조사 이견, 한미FTA 묻혀 오히려 시들 '민간주도' 전환

제주특별자치도가 의욕적으로 도민통합과 제주사회개혁을 슬로건으로 지난 3월 출발했던 '뉴제주 운동'이 당초목적과는 달리 해군기지문제와 한미FTA협상등 굵직한 현안에 가려져 불씨를 살리지 못하고 '꺼져 갈'위기에 처해있다.

출발초기에는 공무원과 도민들의 관심을 얻어 목적하는 바 대로 '도민통합'과 '제주사회개혁'에 큰 획을 그을 것 같은 기대감이 팽배했으나 해군기지 찬반과 주민투표와 여론조사, 후보지선정등에 도민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한편 한미FTA협상타결에 따른 여론악화등으로 도민들로 부터 호응을 얻지 못해 시들해져 가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해군기지 찬반대단체들 뿐만이 아니라 각종 지역및 이익단체들이 현안에 대한 사항을 기자회견이란 수단을 통해 언론의 시선을 잡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과 함께 여론형성도 이같은 언론을 통해 형성되고 있어 상황은 더욱 어려움에 처해지는 형국이다.

따라서 '뉴제주운동'의 순기능인 '도민통합'이란 개념은 찬성과 반대라는 이분법적 현상에 밀려 길을 잃고 헤메는 형국이 연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르는 '제주사회개혁'이란 캐치프레이즈는 빛이 바래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현실이다.

이처럼 '뉴제주운동'의 실천적 철학이 현안에 밀려 토색되어지는 현상에 대해 제주특별도가 처음부터 시도 시기가 잘못됐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특히 과거에 해 왔던 '운동'처럼 뚜렷한 '철학적 기반없이' 주민을 동원, 운동을 확산시키는 한편 공무원위주로 이를 이끌어 가려는 의도부터가 잘못 됐다는 것이 이를 보는 대부분 시각이다.

이로인해 '뉴제주운동'시작단계서 부터 '주민동원'에 따르는 '고령의 도민들' 실신등의 부작용이 오히려 확산에 제동을 거는 역작용으로 작용. 주민동원에 한계를 가져오게 된것이라고 지적을 하고 있다.

이처럼 도민사회의 분열과 이익단체, 지역간의 통합을 목표로 출발했던 뉴제주운동이 오히려 이들 문제들에 휩싸여 도민들의 시선을 끌지 못하는 데서 문제가 비롯되고 있다고 도민들은 보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도 이같은 현실을 실감,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제주특별도는 그동안 공직내부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1부서 1실천과제을 발굴, 실천해나가고 있으며 민간부문에서도 주민자치위원회를 중심으로 마을을 새롭게 가꾸려는 사업을 해 추자도 참굴비'와 애월읍 '브로콜리', 신흥2리 '동백마을'가꾸기등 사업을 실효를 거뒀다고 하고 있으나 이같은 성과가 도민들의 시선을 잡지못하고 있다고 판단, 새로운 방법을 모색키로 하고 있다.

따라서 도는 뉴제주운동이 범도민운동으로 붐을 조성하기위해 보다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홍보를 하기로 하고 있으며 도및 행정시 각부서 가 추진하는 과제들에 경연대회등을 열어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 공무원들의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도는 도내에 있는 국가및 정부투자기관등 각급 유관기관의 자율참여를 유도키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민간 부문에서는 민간주도협의체를 구성, 민간중심운동으로 방향을 틀어 활성화를 도모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