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29일 오후 6시 제주도교육청 앞에서 '2017년 임금교섭 및 총파업 승리 학교비정규직(교육공무직) 결의대회'를 열고 비정규직 완전 철폐를 거듭 촉구했다. ⓒ뉴스제주

제주도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과 제주도교육청 간 줄다리기가 팽팽하다. 노동자들은 근속수당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제주도교육청은 노동자들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제주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와 제주도교육청은 지난 3월 22일 올해 첫 임금교섭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수차례에 걸쳐 임금교섭을 진행했으나 아직까지도 이견차는 좁혀지지 못했다.

제주도교육청은 예산상의 이유를 들며 연대회의가 요구한 조항 중 근속수당 인상 및 교육부 처우개선안 소급적용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수용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제주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7월 4일로 예정된 최종 임금교섭에서 교육청이 전향적인 안을 내놓지 않는다면 7월 7일 예정대로 총 파업에 돌입한다고 배수진을 쳤다.

이번 총파업은 제주뿐만 아니라 전국에 걸쳐 진행된다. 전국의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은 오는 30일 서울에 모여 ‘근속수당 5만원 쟁취’를 위한 총파업을 시작한다.

지난해의 경우 110여개 학교 600여 명이 파업에 돌입했고, 올해는 이보다 더 많은 학교의 조합원이 파업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사상 최대규모의 총 파업이 될 전망이다.

   
▲ 제주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7월 4일로 예정된 최종 임금교섭에서 교육청이 전향적인 안을 내놓지 않는다면 7월 7일 예정대로 총 파업에 돌입한다고 배수진을 쳤다. ⓒ뉴스제주

제주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29일 오후 6시 제주도교육청 앞에서 '2017년 임금교섭 및 총파업 승리 학교비정규직(교육공무직) 결의대회'를 열고 비정규직 완전 철폐를 거듭 촉구했다.

연대회의는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이 앞장서서 2014년 진보교육감 당선에 힘을 보탰다. 그동안 비정규직으로 받아왔던 설움을 진보교육감이면 해결할 것이라는 기대로 13개 지역에 진보교육감을 당선시켰다"고 운을 뗐다.

연대회의는 "진보교육감 4년째를 맞이하고 있지만 학교장계약에서 교육감계약으로, 무기계약직으로 바뀌었을 뿐 여전히 학교비정규직의 임금은 정규직 임금의 60%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제주도교육청은 보수체계를 전환하지 않은 직종에 대해 기본급이 공무원보다 높다고 5년째 임금을 동결하고 있다. 교육감은 교육공무직을 정규직이라고 우겨왔다. 지난 4년 동안 우리들은 ‘무기한비정규직’, ‘영원한 차별의 감옥’일 뿐임을 몸소 체감해 왔다"고 토로했다.

연대회의는 "임금과 처우는 정규직과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우리들도 학생들의 교육과 행정업무를 위해 학교의 모든 곳에서 필수적인 노동을 하고 있음에도 영원히 차별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다"고 털어놨다.

특히 "무기계약직은 결코 정규직이 아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규직과 비정규직과의 임금격차를 80% 수준까지 줄이고, 동일가치노동에는 동일임금의 원칙을 적용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약속은 교육기관인 학교에서부터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17개 시도교육청 중 제주도교육청만 소급적용이 2016년에 이어 쟁점사항으로 남아있다. 교육청은 교섭석상에서 처우개선안에 대한 예산 추계는 3월부터 하면서 막상 소급적용은 어렵다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제주도교육청은 이제라도 학교비정규직 처우 꼴찌를 벗어나 진짜 정규직화로 나아가야 한다. 교육청이 7월 4일 임금교섭에서 전향적인 안을 내놓지 않는다면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은 7월 7일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천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