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 해명에도 논란 여전... 환경오염 우려
제주환경운동연합, 쓰레기 처리대책 수립 요구

▲ 서귀포시에서 소각장으로 반입되어야 할 상당량의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버젓이 매립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사진은 남원매립장) ©Newsjeju
▲ 서귀포시에서 소각장으로 반입되어야 할 상당량의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버젓이 매립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사진은 남원매립장) ©Newsjeju

 제주시의 압축쓰레기 논란에 이어 이번에는 서귀포시에서 소각장으로 반입되어야 할 상당량의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버젓이 매립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서귀포시는 사실을 인정하며 제주시 북부광역환경관리센터 소각장과 압축쓰레기 생산시설이 포화되면서 읍면지역의 생활쓰레기 반입이 어려워짐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남원·표선·성산 3곳의 읍면매립장에 지난 4월 말부터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반입해 매립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하루 3곳의 읍면매립장으로 반입되고 있는 가연성 생활쓰레기의 총량은 적게는 10여 톤에서 많게는 20톤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 관광성수기가 시작되는 시점이어서 이 양은 더욱 많아질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문제는 이들 매립장이 이러한 가연성 쓰레기 반입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조기에 포화돼 매립장 사용연한이 앞당겨질 것이란 점이다. 현재 남원·표선·성산매립장의 예상 만적시기는 각각 2021년 12월, 2020년 12월, 2019년 12월이다. 남은 매립 잔여량도 각각 7,243톤, 6,721톤, 1,126톤 등이다.

▲ 서귀포시는 사실을 인정하며 제주시 북부광역환경관리센터 소각장과 압축쓰레기 생산시설이 포화되면서 읍면지역의 생활쓰레기 반입이 어려워짐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남원·표선·성산 3곳의 읍면매립장에 지난 4월 말부터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반입해 매립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Newsjeju
▲ 서귀포시는 사실을 인정하며 제주시 북부광역환경관리센터 소각장과 압축쓰레기 생산시설이 포화되면서 읍면지역의 생활쓰레기 반입이 어려워짐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남원·표선·성산 3곳의 읍면매립장에 지난 4월 말부터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반입해 매립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Newsjeju

그러나 지금과 같이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매립할 경우 예상 만적시기는 성산의 경우 빠르면 8월경, 남원과 표선의 경우는 내년 4~5월 정도에는 포화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7일 보도자료를 내고 "제주도 생활쓰레기 처리난이 위험수준에 직면해 있다"면서 전방위적 처리대책을 즉각 수립할 것을 요구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3곳의 읍면매립장을 조사한 결과 상당량의 음식물쓰레기가 섞여서 배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될 경우 심각한 악취와 그에 따른 침출수 문제 등이 발생해 매립장 주변의 환경오염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특히 "문제는 이렇게 많은 양의 가연성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를 매립하게 되면 침출수에 대한 처리도 힘들뿐더러 메탄가스 배출량이 늘어 악취는 물론 기후변화에도 심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문제는 이들 매립장이 이러한 가연성 쓰레기 반입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조기에 포화돼 매립장 사용연한이 앞당겨질 것이란 점이다. 현재 남원·표선·성산매립장의 예상 만적시기는 각각 2021년 12월, 2020년 12월, 2019년 12월이다. 남은 매립 잔여량도 각각 7,243톤, 6,721톤, 1,126톤 등이다.(표선 매립장) ©Newsjeju
▲ 문제는 이들 매립장이 이러한 가연성 쓰레기 반입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조기에 포화돼 매립장 사용연한이 앞당겨질 것이란 점이다. 현재 남원·표선·성산매립장의 예상 만적시기는 각각 2021년 12월, 2020년 12월, 2019년 12월이다. 남은 매립 잔여량도 각각 7,243톤, 6,721톤, 1,126톤 등이다.(표선 매립장) ©Newsjeju

 이어 "서귀포시는 이렇게 상황이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제주특별자치도 폐기물 관리 조례 시행규칙 제3조의 광역폐기물 소각시설이 고장 또는 수리 등 불가피한 경우에는 가연성쓰레기의 소각처리 없이 매립장 반입을 허용할 수 있다는 조항을 근거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원희룡 제주도정은 지금의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드려 생활쓰레기 문제 해결의 방안을 근본적으로 다시 돌아봐야 한다. 이미 오래전부터 제주도의 생활쓰레기 문제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었다"고 강조했다.

특히 "2012년 생활쓰레기 처리난 이후 무려 7년이란 시간이 흘렸지만 아직도 생활쓰레기는 제주도의 심각한 문제이다. 지금 당장 문제해결을 위해 제주도정이 총력을 다하지 않는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도민들의 몫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제주도의회 역시 제주도정을 적극적으로 감시하고 견제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도민의 민의가 적극적으로 수렴될 수 있도록 더욱 분발해야 한다. 부디 마지막 기회를 놓쳐 돌이킬 수 없는 극단으로 치닫지 않도록 제주도정의 강력한 대책마련과 이행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