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분 도시 제주' 윤곽 나왔다
제주 전체를 30개/200개 구역으로 나눠 
제주자치도, 26일 제주웰컴센터서 기본구상 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 제주특별자치도. ©Newsjeju
▲ 제주특별자치도. ©Newsjeju

오영훈 제주도정에서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15분 도시'에 대한 윤곽이 드러났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26일 오후 4시 제주웰컴센터에서 '15분 도시 제주' 조성을 위한 기본구상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한다.

제주도정은 지난 2월 제주연구원을 용역 수행기관으로 선정하고, 3월 초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제주지역에 적합한 '15분 도시'의 모형을 연구해왔다.

이번 중간보고회에서는 ▲15분 도시 제주의 비전과 정의(안) ▲생활권 설정(안) ▲생활필수기능 설정(안) ▲기대효과 등이 제시된다.

우선 용역진은 '15분 도시'를 '도민이 거주지 가까운 곳에서 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누릴 수 있는 도시'로 정의했다.

생활권은 일부 동지역을 통합해 제주 전 지역을 30개의 구역으로 나눴다. 이 30개의 생활권 내 마을을 활용해 약 200개의 '보행생활권'을 설정했다. 다만, 행정체제 개편으로 행정체계가 변화되면 이 생활권 설정은 변동될 수 있다.

30개의 '15분 도시'가 갖춰야 할 생활필수기능은 도민참여단과 워킹그룹 등의 의견을 수렴해 프랑스 파리의 15분 도시 모형을 본따 '5+1' 체계로 구상했다.

'15분 도시 파리'의 생활필수기능은 생활(Living), 업무(Working), 공급(Supplying), 건강(Caring), 학습(Learning), 여가(Enjoying) 등 6가지로 구성돼 있다.

이를 벤치마킹한 '15분 도시 제주'는 ▲생활 ▲교육 ▲돌봄 ▲건강 ▲여가 5가지와 ▲업무를 분리해 추가했다.

이에 대해 제주자치도 관계자는 "파리 모형과 달리 제주 모형엔 '돌봄'이 새롭게 포함됐고, '공급'은 '생활'에 포함시켰다"며 "허나 현재의 제주도 내 일자리 분포 상황을 고려할 때 '업무'를 포함하는 건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향후 균형발전을 통해 포함되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성대 도시균형추진단장은 "이번 중간보고회에선 도민들이 궁금해하는 '15분 도시 제주'가 무엇인지, 왜 하는지, 어떻게 할 것인지, 하면 무엇이 좋아지는지 등을 설명하고, 도민 공감대를 넓히는 자리로 준비하겠다"면서 "많은 도민께서 이번 용역 중간보고회에 참석해 귀중한 의견을 제시해 주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자치도는 중간보고회 이후부터 최종보고회까지 용역 진행상황을 사회관계망(SNS)을 통해 공개한다. 인스타그램은 #15minute_city_jeju이며 페이스북은 '15분 도시 제주'로 검색하면 된다.

중간보고회 이후 8월엔 제주도정과 행정시가 협업해 행정시별 2개소씩 총 4개 생활권 시범지구(읍면 2, 동 2)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후에 시범지구 기본계획과 실행계획을 수립해 3개년(2024~2026)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오는 8월과 9월에는 '15분 도시 제주' 관련 주요 이슈인 ▲보행환경 개선 및 자전거·대중교통 활성화 ▲도심 내 공원공간 확보 ▲생활권 내 생애주기별 돌봄 등을 주제로 공개토론회를 개최해 도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다.

9월에는 '15분 도시 제주'로 전환하기 위한 비전을 도민에게 보고하는 비전선포식과 국제컨퍼런스도 개최한다.

키워드
#15분도시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