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애월과 삼도1~일도1동... 서귀포시, 표선과 천지~송산
내년 2월까지 시범지구 실행계획 수립, 나머지 26개 생활권도 연차적 수립

▲ 제주특별자치도. ©Newsjeju
▲ 제주특별자치도. ©Newsjeju

오영훈 제주도정에서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15분 도시 제주' 조성에 따른 시범지구 4곳이 정해졌다.

15분 도시 시범지구 4곳은 제주시와 서귀포시 양 행정시 내 읍면지역과 동지역 한 곳씩 선정됐다. 제주시 지역에선 애월과 삼도1~일도1동 지역이, 서귀포시에선 표선과 천지~송산 지역이다.

삼도1~일도1 생활권엔 삼도1·2동과 이도1동, 일도1동이 포함됐다. 천지~송산 생활권은 천지동과 중앙동, 정방동, 송산동이 묶였다.

'15분 도시'는 주민들이 평소 이용해야 하는 시설들의 생활권 반경 범위가 이동거리 15분 이내에서 모두 해결될 수 있는 지역구를 일컫는다. 의료와 교육, 노동, 문화, 여가 등의 시설들이 도보나 대중교통을 이용해 15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생활반경 범위 내에 조성돼 있어야 한다.

양 행정시 동지역은 이러한 기본개념에 충실한 시범지구를 조성할 순 있지만, 읍면지역이 문제다. 현재 대부분의 읍면지역에서 15분 거리 내에서 의료와 교육(보육), 노동, 문화 등이 충족되는 지역이 사실상 거의 없다.

때문에 현재 제주도정에선 '15분 도시' 조성의 개념을 보다 확장시키려 하고는 있으나 녹록치 않다. 현재까지 구상된 방안은 최대한 대중교통 시설을 확충해 접근성을 넓히겠다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러한 기본개념을 배경에 두고 제주를 15분 단위의 생활권으로 구역화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 내년 2월까지 용역을 추진 중이다. 용역은 내년 2월까지 진행되며, 14일 시범지구 4곳을 발표했다.

이번에 선정된 시범지구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洞)지역에서 1개씩, 동부와 서부의 읍면지역에서 1개씩으로, 제주도의 동서남북에서 각각 1곳씩 선정됐다.

이번 선정에 대해 제주자치도 관계자는 "시범지구로 적정한지 여부(적정성), 주민과 행정의 협력의지가 높은지(협력성), 시범지구 선정 시 기대 효과(효과성) 등을 고려했다"며 "이 과정에서 동서남북 각 권역별로 소외되는 지역이 없도록 판단에 신중을 기했다"고 설명했다.

제주도정은 내년 2월까지 시범지구 기본계획과 실행계획을 마련하고, 3년간(2024~2026) 시범지구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후 2033년까지 제주를 총 30개 구획으로 분류한다는 계획이다.

내년에는 실시설계용역을 통해 시범지구 내에 부족한 생활필수시설을 조성하고 접근성을 강화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범지구 추진 과정에서 나타나는 미비점을 보완해 다른 생활권에 적용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나머지 생활권에 대해서도 연차적으로 생활권 실행계획을 수립해 2026년까지 제주 전역의 15분 도시 생활권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키워드
#15분도시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