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5일 연속 세종시 의원총회가 끝났다. 당초 수정안 대 원안으로 갈라선 친이·친박 간 ‘끝장토론’ 취지와 달리, 결국 중진협의체를 통한 논의라는 또 다른 유보로 마무리됐다. 경향신문 보도에 따르면 오히려 박근혜 전 대표 흠집내기 논란 등 양측의 격돌로 간극만 더 확연해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의총 동안 친이·친박의 대표적 토론자로 나선 정두언·유정복 의원과의 인터뷰를 통해 의총 평가와 향후 세종시 논란의 항로를 짚었다.

▲ 친이계 정두언 의원 - “중진협의체, 4월국회 전 합의안을”

친이직계 핵심인 정두언 의원은 향후 중진협의체 활동과 관련, “합의안만 아니라 합의안 처리방법까지 결정지어야 한다. 그래야 (친이계가)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4월 국회 전 (합의)해야 한다”고 시한도 못박았다. 당론 표결 등 구체적 당론화 방안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다시 세종시 논란이 원점으로 갈 수 있다는 친이계의 입장을 대변한 것이다.

- 의총에서 박근혜 전 대표를 제왕적이라고 비판했다.

“박 전 대표가 아니라 이회창 전 총재가 제왕적이라고 비판한 건데, 지금 우리 행태가 뭐냐고 반성해 보자는 것이다. 친박 의원들도 생각이 여러 가지인데, 이야기도 못하게 하니 이 문제가 안 풀린다. 대한민국 누구나 다 생각은 하면서 지적 못하는 부분 아닌가. 제왕적 총재보다 더 하다는 것이 모르는 이야기냐. 그런 권위주의적 행태에 대해 아무도 지적하지 않는 것은 문제라고 생각한다.”

- 당내에선 이명박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만나야 한다는 요구가 많다.

“같은 당의 전 대표가 대통령을 왜 안 만나느냐, 만나야 된다는 식의 이야기 자체가 대통령을 욕되게 하는 거 같아 민망스럽다. 사리에 안 맞다. 박 전 대표가 지나친 것이다. 나이로 보나 인생경험으로 보나 예의도 아니고, 우리 정치사에 일찍이 없던 일이다.”

- 의총 결론인 중진협의체에 대한 전망은.

“잘 돼야 하고 잘 될 것으로 본다. 안 되면 공멸이다. 공멸을 원하는 사람이 누가 있겠나. 절충안보단 합의안으로 표현했으면 한다. 절충이라고 하면 양쪽 다 거부감을 갖는다. 중진협의체는 일단 세 가지가 전제돼야 한다. 시한은 있어야 한다. 4월 국회 전에 해야 한다. 그리고 합의안만 도출할 게 아니라 합의안 처리방법까지 결정지어야 한다. 그래야 (친이계가) 받을 수 있다. 아니면 과거 수정안에서 (논의를) 출발했던 게 다시 합의안에서 출발하는 게 된다.”

- 야당은 3월 국회 소집해서 결론 내자고 한다.

“야당 마음대로 할 수 있나. 우리가 여기까지 왔는데, 갑자기 야당 의도대로 가는 게 말이 되느냐. 중진협의체 구성해서 논의하자는 마당에 그건 아니다.”

- 국민투표론은 어떻게 생각하나.

“국민투표는 모든 게 안 될 때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다. 가능성은 열어놔야 한다. 지금은 순서가 안 맞다. 부정적인 면도 있으니 검토를 해야 하는데 지금 검토 자체를 할 단계는 아니라는 것이다.”


▲ 친박계 유정복의원 - “자문기구가 절충안 내면 혼란만”

박근혜 전 대표 비서실장을 지낸 유정복 의원은 28일 중진협의체 구성에 대해 “의견을 자문하는 기구가 돼야지, 절충안 등 대안을 제시하면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고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또 “세종시 수정안의 당론 채택이나 국회 처리는 불가능한 만큼 국민의 혼란을 덜어드리기 위해 3월 임시국회에서 빨리 (세종시수정법을 상정해 부결시키는 등 처리)하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 5일간 세종시 의총을 했다.

“정치 선진화를 위한 하나의 성장통이었다. 약속과 신뢰가 얼마나 중요한가 하는 점에서, 정치권이 함부로 약속해서는 안 되고 한 번 한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다. 다만 근거 없는 사실로 누구를 인신공격한다든가, 사실과 다른 논리로 본질을 왜곡하고 국민에게 혼란을 초래한 점은 시정돼야 할 정치적 구태이고, 무책임한 일이다.”

- 의총 결과 중진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큰 기대를 하지 않는다. 협의체가 구성돼도 한나라당 의원 전체의 의사를 대표하는 게 아닌 자문기구 정도다. 여기서 특별한 세종시 방안이 나올 수도 없고, 나와서도 안 된다. 핵심은 세종시가 정상 추진돼야 하느냐, 아니냐의 문제인데 어떤 절충을 하더라도 그건 변형된 수정안일 뿐이다. 세종시의 본래 가치와 목적은 못 살린다. 절충을 위한 절충은 의미 없다. 물건 값 깎듯, 세종시 약속을 ‘적당히 절반만 지키자’고 하면 되겠나. 충청권을 농락하는 일이다.”

- 당내에 절충안 찬성 의원 비율이 상당하고, 박 전 대표 지지율이 하락했다는 일부 여론조사 결과도 나왔는데.

“박근혜 전 대표는 애시당초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세종시를 대했다. 여론조사에 일희일비하지 않는다.”

- 세종시 문제를 매듭지을 방안은.

“지금이라도 정부가 수정안을 철회하는 게 최선이다. 논란의 조속한 매듭이란 측면에서 수정안의 3월 임시국회 처리도 나쁘지 않다. 이명박 대통령과 박 전 대표 회동 얘기도 나오지만 어느 한 분이 깨끗이 항복할 수도 없는데 ‘무조건 만나고 보자’는 얘기는 무책임하다. ‘약속을 지키자’와 ‘어기자’가 절충이 가능한가. 행여 회동 후 타협이 안 되면 국민들 실망은 또 어쩌나.”

- 친이계의 세종시 수정 추진을 두고 다른 정치적 해석도 있다.

“근거 없는 추측을 하지는 않겠다. 갖은 설과 해석이 있지만, 이 대통령도 나라 생각하는 마음에서 수정론을 폈다고 믿는다. 그러나 그런 좋은 뜻이라도 국민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포기하는 것이 정도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