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자치도, 짧아지는 신종 감염병 발생주기에 대비해야 할 것 강조
감염병 위기대응 협의체 회의 개최… 감염병 대비·대응 방향 논의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코로나19 이후 미지의 신종 감염병(Disease-X) 발생에 대비하기 위한 제5차 감염병 위기대응 협의체 회의를 8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감염병 위기대응 협의체 위원 19명이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 미래의 신종 감염병 대비를 위해 필요한 사항 등을 중점 논의했다. 

코로나19 대유행은 사회적·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일으켰으며, 이와 같은 신종 감염병 대유행 발생주기는 계속 짧아지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사스가 2002년에 발생한 7년 뒤인 2009년에 신종플루가 유행했고, 다시 6년 뒤인 2015년에 메르스가 확산됐다. 그로부터 5년 뒤 2020년에 코로나19가 발병했다.

전문가들은 감염병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평소에 의료인력·병상 등 자원관리를 강화하고, 교육 등을 통한 대응인력 양성, 격리치료병상 확충 등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와 함께 권역 감염병전문병원의 설치 필요성과 역할의 중요성도 설파했다.

특히 제주지역은 다른 지역과 지리적으로 단절된 섬 지역이라는 점을 감안해 감염병 전문병원의 조속한 설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감염병 전문병원은 감염병 위기 발생 시 지역 내 컨트롤타워가 되며, 평시에는 교육·연구기관으로서 대응인력 양성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또한 회의에서는 2024년 제주 집중관리 감염병 선정 및 관리계획을 논의했고 2023~2024절기 65세 이상 어르신 코로나19 예방접종률 제고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일선 현장에서의 감염병 대응 애로사항 등을 청취했다. 

한편, 감염병 위기대응 협의체는 코로나19 위기상황 발생에 따른 선제적 대응 및 도내 한정된 의료자원의 한계 극복을 위한 유관기관 간 협력 체계 강화를 위해 지난해 9월에 구성됐다.

협의체엔 제주자치도 건강관리과와 보건위생과, 소방안전본부, 보건환경연구원이 포함돼 있으며, 교육청과 제주도 내 종합병원 및 제주의료원, 의약단체(병원협회, 의사회, 약사회, 간호사회), 공공보건의료지원단, 감염병관리지원단이 속해 있다.

그동안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네 차례의 회의를 통해 ▲격리병상 등 의료자원 확보 ▲유행상황 및 확진자 발생 추이에 따른 대응체계 마련 ▲응급 이송환자 발생 시 신속한 환자 이송·전원 협력체계 구축 ▲방역정책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강동원 도민안전건강실장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감염병 위기대응 협의체의 적극적인 협조와 노고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감염병 대응 협의체와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감염병 대응 정책을 수립해 나갈 것이기에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