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제주
제주항공이 제주 콜센터를 서울로 이전 추진으로 제주의 직원들이 실직 위기에 처해지자 도내 정치권들이 격노하며 이전 계획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제주항공은 10년전 서울에서 운영하던 콜센터를 제주로 이전하며 '고용효과' 창출을 홍보했다. 하지만 이를 다시 서울로 이전 계획을 세우자 제주항공에서 일하던 직원들은 실직 위기에 처해졌다.

직원 대다수가 가족들을 부양하는 30~40대다. 더군다나 직원들은 외주업체가 바뀐지 1년도 되지 않은 상황이라 퇴직금 조차 받기 어려운 처지에 놓여졌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은 "제주항공 콜센터 이전은 고용문제 차원을 넘는 제주도민을 기만하는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지난해 7월 당초 항공사 설립 당시 이뤄진 업무협약에 근거해 애경유지공업측의 제주도에 대한 100만주 무상 증여가 이뤄지면서 제주도가 2대 주주로 올라선 직후에 벌어진 일이라는 점에서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는 것이다.

더민주 도당은 제주도정을 겨냥해서도 "책임이 크다"고 주장했다.

제주항공은 지난 1990년대 말부터 지속적으로 이뤄진 거대 항공사들의 항공료 인상에 대응한 자구책으로 추진돼 만들어진 항공사다.

항공사 설립 당시 제주도는 지분 25%를 소유한 상태였지만 계속적인 제주항공측의 증자에 무대응으로 일관하면서 제주도의 지분율은 3.8% 수준까지 지속 하락하며 존재감을 상실했다.

도당은 "결과적으로 ‘제주’라는 이름만 브랜드로 내주고, 혈세만 투자한 채 ‘속빈 강정’꼴이 된 것"이라며 "비록 작년 애경측의 주식 무상증여로 7% 수준 대의 지분율을 회복하긴 했지만, 여전히 나약한 수준"이라고 혹평했다.

도당은 "제주항공의 콜센터 폐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가 ‘중재’에 나선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 중재 차원에만 접근해선 안된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제주항공은 6000억대의 매출과 400억대의 당기 순이익을 올리고 있지만, 제주도는 이름만 내준 채 제주도민들은 가중되는 항공기 좌석난 등 항공교통 이용의 피해만 감수하는 실정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는 이번 기회에 보다 적극적으로 제주항공이 제주도민의 항공사로 거듭날 수 있는 조치에 대한 진지한 검토에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뉴스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