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청소년의집, 사기업에 20년 임대 계약 체결
"건물 건립 목적이 이게 맞나" 반문... 계획 중단 촉구
제주YMCA 제주국제청소년의 집 정상화 비상대책위원회가 25일 한국YMCA전국연맹에게 제주국제청소년의 집을 본래 목적에 맞게 사용할 것을 촉구했다.
최근 한국YMCA전국연맹은 한라산 1100도로 입구에 위치한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의 운영을 서울소재 민간 사기업인 '더숲'에 20년간 장기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비대위는 이날 성명을 내고 "심각한 우려와 분노를 표한다"며 "건물의 본래 건립 목적과 취지를 정면으로 훼손하는 행위"라면서 즉각 계획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은 1985년 고(故) 김봉학 제주YMCA 이사장이 소유하고 있던 천마목장 부지 약 4000평을 내놓으면서 건립됐다. 건립 과정엔 오사카YMCA와 제주출신 오사카 재일제주교포들의 모금액 3000만 엔이 더해지기도 했다. 건립 당시 1985년 제주YMCA가 오사카YMCA와 형제 관계를 맺고 현재까지도 한·일 청소년을 위한 사업을 진행해왔다.
허나 최근 한국YMCA전국연맹이 이곳을 유스호스텔로 용도 변경하고, '더숲'이라는 민간 사기업에 20년간 요식업 영업을 포함한 임대 운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두고 비대위는 "20년이라는 장기 임대는 상식적으로 YMCA의 정체성을 훼손시키는 행위"라며 "고(故) 김봉학 이사장의 기증 취지와 제주도민의 아픔인 4.3를 피해 일본 오사카로 피난간 제주출신 모금(80%~90%)으로 이뤄진 역사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라고 일갈했다.
비대위는 "이러한 건립 취지를 훼손하는 계획에 우려와 분노를 표한다"며 "임대 계약을 중단하고, 민간위탁 계획도 철회하라"면서 당초 건립 취지에 맞게 운영하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비대위는 "만일 이러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모든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모든 수단을 강구해 나가겠다"며 "전국YMCA 네트워크에 이 문제의 심각성을 알려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이 본래의 정체성을 되찾을 때까지 행동을 이어가겠다"고 천명했다.
